PILILNE

이것 저것

국가고시

연부조직 병변 간단정리

PT일기 2023. 11. 18. 01:44
728x90
반응형

1. 가슴문증후군(Thoracic outlet syndrome, TOS)

1)개요

-신경과 혈관이 압박을 받아 팔에 혈액순환장애, 신경증상 등을 유발

-팔로 가는 팔신경얼기 및 빗장밑동정맥, 겨드랑혈관 등은 앞목갈비근, 중목갈비근, 뒤목갈비근, 1갈비뼈, 작은가슴 근 사이로 지나감

-주로 20~30대에 호발, 여성>남성

-해부학적 위치에 따라 목갈비뼈증후군, 앞목갈비증후군, 갈비빗장증후군, 과벌림증후군으로 나뉨.

 

2)증상

-자신경의 저림, 통증, 타진통, 마비

-빗장밑정맥이 압박시 손가락과 손에 부종, 청색증

-일반적으로 누운자세에서 통증이 심해짐(체위를 변경시 통증이 사라짐)

-발통점에 의해 목갈비근의 긴장도가 높아지면서 목뼈의 가쪽굽힘이 다소 제한

-레이노드 현상: 산소공급 차단시간이 길어지게 되어 퍼렇게 변하는 현상

 

3) 빗장밑동맥 압박 징후

-과벌림검사: 어깨관절 벌림 후 노동맥 촉진, 맥박이 소실되면 양성

-에드손 검사: 환측머리를 바깥쪽 굽힘 후 노동맥 촉진, 맥박이 소실되면 양성

-알렌검사: 손가락을 펴고 구부리면서 맥박을 촉진, 맥박이 소실되면 양성

-갈비빗장압박검사: 앉은 자세에서 양어깨를 위아래로 당김, 노뼈동맥 박동 소실시 양성

-주의력검사: 선 자세에서 턱을 당기고, 차렷자세에서 양팔을 뒤쪽으로 당김, 노뼈동맥 박동 소실시 양성

-올리기 부하검사: 앉은 자세에서 양팔 90° 올려 벌리고 팔꿉 90° 굽힘하고 손가락 쥐었다 폈다 동작 3분 수행, 빗 장밑동맥이 압박받는다면 팔의 피로와 통증을 느낌

-홀스테드검사: 검사자는 환자의 뒤쪽에 서서 팔을 뒤쪽으로 당김, 환자머리를 한쪽으로 기울이면서 반대쪽 노동맥의 박동을 잼.

 

2. 가시위근힘줄염(Supraspinatus tendinitis)

1)개요

가시위근의 역할은 초기 벌림, 가쪽위돌림을 수행

어깨에 계속적인 스트레스가 염증성 반응과 근섬유화를 초래하여 탄력성이 소실석회화파열

 

2)임상적 증상 및 진단과 평가

-증상

어깨관절주위와 어깨세모근 거친면까지 국소압통을 느낌, 팔을 벌림할 때 통증이 나타남

주로 밤에 통증이 심함, 통증 경감을 위해 어깨 올리기 동작을 취함

급성 석회화 힘줄염: 무리하게 사용하였을 경우 25~45세 젊은층에 호발

만성 석회화 힘줄염: 반복적인 팔의 벌림운동과 가시위근 스트레스 등에 의해 50~60세 사이에서 호발

 

-진단과 평가

힘줄뼈막부: 어깨벌림 저항 시 통증, 통증호는 약 80~110°의 수평상태에서 발생

힘줄뼈막이음부 깊은부: 어깨 벌림 저항시 통증, 완전 벌림(완전 올림 시, 완전 거상 시)통증 , 통증호는 가동범위 마지막 부분

힘줄의 먼쪽: 수평위, 완전 벌림 시 통증호 발생

근힘줄이음부: 어깨관절 벌림 시에는 통증이 없고, 벌림 저항 시에는 통증, 통증호는 가동범위 마지막 부분

 

3. 근육둘레띠 증후군(Rotator cuff syndrome)

1)개요

-어깨위팔관절을 연결, 지지하는 깊은 어깨 근육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어깨부 인대가 염증, 부분파열 또는 완전파 열을 일으킨 질환

-계속적인 사용과 마모에 따른 진행성 변성과 외부 손상에 따라 힘줄손상이 나타남. 특히 40대 이후는 퇴행성으로 진행되어 칼슘 침착과 힘줄 파열이 일어남

-과도한 던지기 동작, 과도한 위팔사용 등이 원인

2) 임상적 증상과 진단

-어깨관절 통증, 구축, 벌림장애, 기능저하

-근육둘레띠의 힘줄이 완전 파열되었을 때는 갑작스런 통증이 발생하며 위팔의 벌림과 머리위로 들어올리기가 불가 능해짐

-어깨를 으쓱하는 동작은 완전한 근육둘레띠 파열 때 나타나는 현상

-완전한 파열은 팔 낙하검사(Drop arm test)에서 양성 반응

-근육둘레띠 손상 중 가시위근 손상이 가장 잘 발생하고, 먼쪽부위에서 흔함

-수의적으로 위팔을 가쪽돌림 할 수 없음

 

4. 유착관절낭염(Adhesive capsultis, 오십견, 굳은어깨, frozen shoulder)

: 어깨관절의 통증과 운동제한을 동반, 만성기에 어깨관절 주위근육에 위축동반, >, 10~36주간

1)임상적증상과 검사 및 중재

-임상적 증상

·1단계: 어깨관절 pain, 결빙기, 특별한 외상 없이 어깨관절에서 팔 전체로 방사되는 통증이 2~3주간 발생, 야간에 심하고 활동량에 비례하여 통증증가

·2단계: 강직이 점차 진행되는 동결기, 운동 시 통증이 나타남, 어깨관절에서 모든 운동에 제한, Deltoid, Rotator cuff, Biceps, Triceps 위축동반, 4~12개월간 지속

·3단계: 용해 또는 해빙기, 운동범위가 점차 회복되며 물리치료 실시 3~6개월 지속

·통증은 어깨관절 주위에서 시작하여 위팔부의 가쪽으로 방사, 심하면 손까지 통증

·발병후 약 2년에 걸쳐 자발적 회복

-기능적 평가는 어깨관절 아플레이 할퀴기 검사(Apley scratch test)로 확인

-중재

·급성기 물리치료

냉치료, 초음파, 전기치료 적용/코드만 운동/통증을 완화시키고 점진적으로 ROM회복

·만성기 물리치료

운동장애와 근위축이 가장 문제가 됨, 유착을 깨기위해 초음파 치료가 중요

통증이 줄어들면 관절 가동범위 확보 후 근력강화운동을 실행

유지-이완과 같은 신경근 촉진기법, 율동적 안정화 등

 

5. 가쪽관절융기염(Tennis elbow, Lateral epicondylitis)

1)임상적 증상, 진단과 평가, 중재

-임상증상

주먹을 쥐거나, 무거운 물건을 들어 올라거나, 아래팔의 엎침, 뒤침하면 통증이 증가하며 손목관절까지 통증이 나타나기도 함, 팔꿉관절 가쪽에 통증

-진단과 평가

·코젠 검사: 환자의 팔을 고정하고 팔꿈관절 굽힘, 아래팔 엎침 상태에서 치료사의 손이 환측 가쪽 위관절융기에 위 치하고, 반대쪽 손은 손등을 잡고서 손목관절을 폄할 때 저항을 가하면 통증이 유발되면 테니스 팔꿉증 의 양성반응

·밀검사(Mill test): 손목관절과 손가락관절 완전 굽힘 시 통증 유발되면 양성반응

·마우드슬리 검사(Maudsley test): 팔꿉관절 폄상태에서 가운데손가락 폄 시 저항을 가할 때 통증 유발 시 양성반응

-중재

·급성기: 안정과 한랭치료, 통증심할 경우 덧대(테니스 팔꿉 띠)를 착용(2~3주간)

·만성기: 통증완화·유착방지를 위해 온열치료와 마사지, 능동·수동 관절가동 범위 운동, 깊은 수평 마찰 마사지(deep friction massage)

 

6. 협착성 힘줄윤활막염: 드퀘르벵 병이라 불림, 해부학적 코담배(snuff box)의 긴엄지벌림근과 짧은엄지폄근의 만성 윤활막염으로 발병

1)진단과 평가, 중재

-진단과 평가

·핀켈스타인 검사(Finkelstein test): 엄지손가락을 손안에 넣고 주먹을 쥔 상태에서 손목을 자뼈 치우침을 함, 이때 노뼈 붓돌기 부위에 통증 호소하면 협착성 힘줄윤활막염 의심

·힘줄의 활막 조영술 시행하거나 MRI를 통해 확인

-중재

·Splint나 탄력붕대를 손목과 엄지를 고정, 통증이 없는 범위 내에서 스트레칭 13회정도 실시

·통증이 감소하면 악력과 손목근육의 강화, 통증이 없는 범위 내에서 가벼운 체중부하 운동과 안정화 운동

 

7. 손목굴증후군과 기용굴증후군의 비교

1)손목굴증후군

:손목에서 정중신경을 압박하는 신경병증, 손목굴 협착은 중년여성(2)>남성

:정중신경 지배영역(1~3번째손가락 전체+4번째 손가락 안쪽)의 감각이상,

원숭이 손(Ape hand)

:진단 -Phalen test(팔렌 검사): 양쪽 손등을 맞대고 손목을 90° 구부린 후 약 1분간 유지,

이때 통증이나 이상감각이 나타나면 손목굴증후군 의심

-Tinel sign test(티넬징후 검사): 손목굴을 통과하는 정중신경을 두드려 통증 유발

이때 통증이나 이상감각이 나타나면 손목굴증후군 의심

-손목굴 압박검사: 손목굴을 직접 압박을 가하여 검사

 

2)기용굴증후군(기용터널증후군)

:자뼈굴이 협소하여 자신경을 압박하여 발생(자신경 증후군이라고도 불림)

:손의 4,5번째 손가락에 감각소실, 칼퀴손 변형(Claw hand) -너클벤더 덧대

:진단-자신경의 티넬검사, 이점식별검사법, 근전도 신경전도검사

 

8. 궁둥구멍증후군: 궁둥뼈 신경 압박에 의해 초래, 근육의 이상 과부하와 반복적인 긴장, 외상, 궁둥구멍근의 단축 및 비대로 궁둥신경을 압박/ 여성(6)>남성

1)진단과 평가

-환자를 의자에 앉혀 엉덩관절과 무릎관절을 직각으로 굽힘시킨 후 다디를 벌리게한 상태에서 치료사가 벌림 및 가 쪽돌림시킬때 저항 가했을때 통증이 있다면 양성

-의자에 엉덩관절 90°로 앉게 하여 환측의 다리를 반대쪽 다리 위에 올려서 앉게하면 통증이 발생(다리꼬기)작은 볼기근에 의해 궁둥구멍근의 긴장에 의해서

-바로누운 자세에서 환측 발의 위치는 궁둥구멍근 긴장에 의해 넙다리 가쪽돌림 됨(priformis sign)

-Freiberg' s test: 엉덩관절 폄 상태에서 안쪽돌림 시 통증 발생

-Saudek' s test: 옆으로 누운 자세에서 엉덩관절 직각으로 굽힘 시킴, 한 손으로는 골반을 고정하고 다른 한손으로 는 넙다리를 모음 시켜 통증의 재현과 운동장애의 유무 확인

-안쪽돌림과 함께 뻗음올림검사(straight leg raising, SLR test):

바로 누운 자세에서 치료사가 환자의 다리를 안쪽돌림과 함께 SLR 할 때 통증이 나타나면 양성

 

 

9. 무릎관절 십자인대 손상

1) 개요

십자인대: 넙다리뼈와 정강뼈를 연결하는 인대

앞십자인대 뒤십자인대
정강뼈 융기사이융기의 앞쪽에서 시작하여 위가측 뒤쪽으로 넙다리뼈 융기사이오목의 가쪽벽에서 정지 거의 수직으로 정강뼈 융기사이융기의 뒤쪽융기에서 시작하여 넙다리뼈 융기사이오목의 안쪽벽을 결합
과다굽힘이나 젖힘 시 긴장상태 굽힘, 폄 상태 모두에서 긴장
정강뼈가 앞쪽어긋남 되는 것과 돌림을 방지 정강뼈의 뒤쪽어긋남 방지
무릎관절이 과도하게 젖힘되거나 무리한 정강뼈 안쪽돌림될 때 손상 정강뼈가 앞쪽에서 뒤쪽으로 어긋남되거나 무릎관절 굽힘상태에서 정강뼈 상단이 지면에 충돌할 때 손상

 

2) 진단과 평가

- 서랍징후(drawer sign)

: 십자인대의 안정성 검사

: 침대 위에 환자를 바로 눕히고 무릎관절을 90도 굽힘시킨 상태로 발바닥 을 침대 시트에 고정

: 정강뼈가 넙다리뼈 부위에서 쪽으로 5mm이상 움직이면 앞십자인대의 손상

: 정강뼈가 넙다리뼈 부위에서 쪽으로 5mm이상 움직이면 뒤십자인대의 손상

 

- 라크만 검사(Lachman's test)

: 무릎관절 15~20도의 굽힘 위에서, 정강뼈의 앞쪽 어긋남을 측정하는 방법

: 환자의 다리를 들어 올려서 한 손으로 환자의 넙다리뼈부를 고정시켜 놓 고, 다른 한 손으로는 정강뼈를 검사자의 몸 쪽으로 잡아당긴다

 

- 불행삼주징(unhappy triad of O'Donoghue)이란?

: 앞십자인대(ACL), 안쪽곁인대(MCL), 안쪽반달연골(MM) 동시 파열

 

10. 무릎관절 반달연골(Meniscus)손상

1)개요

두 개의 연골륜을 안쪽 및 가쪽반달이라고 부름 / 반달모양, 가쪽면은 두껍고 안쪽면은 얇음 / 가쪽반달은 다소 작고 원형, 안쪽반달은 크고 폭도 넓음 / 반달연골의 손상은 대개 무릎관절이 굽힘상태에서 갑자기 폄 위치가 될 때, 굽힘에서 폄을 할 때, 비틀림이 동반될 때 손상되기 쉬움 / 고정된 다리에 넙다리의 안돌림력이 가해지면 안쪽반달연골에 손상이 발생하고, 반대로 가돌림력이 가해지면 가쪽반달연골의 손상이 일어남 / 안쪽반달연골이 손상 쉬움

 

2)진단과 평가(이학적 검사)

맥머리 검사(McMurray test)

-안쪽반달연골손상 : 무릎 완전 굽힘상태로 정강뼈를 가쪽돌림시키면서 폄할 때 퉁김소리(snap)를 느낌

-가쪽반달연골손상 : 무릎을 완전히 굽힘상태에서 정강뼈를 안쪽돌림하면서 무릎 폄할 때 딸깍(click) 또는 퉁김소리

아프레이 검사(Apley test)

-압박검사 : 연골에 압박을 주면서 다리를 안쪽돌림이나 가쪽돌림 시킴(통증유발 시 손상의심)

-떼어당김검사 : 다리를 떼어당김하여 검사(이때 더 심한 통증호소하면 다른 연부조직(곁인대)손상을 의미)

웅크림검사(Squatting test)

안돌림 .가돌림하여 앉고 서기를 함

왓슨 존슨 검사(Watson Jones test)

무릎관절을 최대한 폄하도록 지시하면 손상부에 일치하여 통증을 호소

퇴튀김검사(bounce home test)

유리체, 관절공간 내의 종창 등으로 무릎관절 폄이 안되는 것을 검사, 무릎을 굽힘한 후 폄할 때 무릎이 폄 동작이 충분하지 못하면 양성

 

11. 발목관절인대(ankle ligament) 손상

1) 개요

-발목관절인대: 앞목말종아리인대, 발꿈치종아리인대, 뒤목말종아리인대의 안쪽곁인대와 가쪽곁인대

-지면이 편평하지 못한 곳에서 걷거나, 뛰거나 점프를 하는 운동선수에게 주로 발생

-발목부가 지면에 닿을 때 발목 주위의 근육이 충격을 빠르게 흡수할 수가 없어서 발생

-가쪽에 위치한 앞목말종아리인대, 발꿈치종아리인대, 뒤목말종아리인대 순으로 손상

-앞목말종아리인대는 가장 약해서 손상받기 쉽고 발목관절 안쪽들린상태에서 손상되기 쉽다

-안쪽에 위치한 세모인대는 강하고 갑작스러운 바깥굽은 상태에서 가쪽부의 골절과 동반

2) 진단과 평가

-발목관절 안쪽들림, 바깥굽음, 발바닥쪽 굽힘, 발등굽힘 앞쪽 및 뒤쪽 서랍검사

1도손상- 파열X, 늘어남, 약간의 부기와 압통, 미미한 기능 감소, 관절 안정적

2도손상- 부분파열, 중등도의 부기와 압통, 약간의 기능 감소, 약간의 관절 불안정

3도손상- 완전파열, 통증, 심한 부기와 압통, 체중부하X, 반상출혈, 관절불안정, 골절동반

 

12.Achilles tendon (발꿈치힘줄) 손상

1)개요

-인체에서 가장 크고 강한 인대인 발꿈치힘줄은 장딴지근과 가자미근이 합쳐 공통힘줄을 형성하여 발꿈치뼈 뒤윗면 에 정지함

-손상원인: 발목관절의 과도한 발등굽힘, 외상 등

-손상 호발부위: 근힘줄이음부, 힘줄중간부, 힘줄뼈대부

힘줄중간부 사이에서 손상이 가장 크게 반발(혈류공급이 불충분하여 손상과 퇴행이 잘 일어남)

2)진단과 평가

톰슨검사: 환자를 엎드려 눕게 하고, 무릎관절 굽힘 위에서 장딴지 근육을 쥘 때 발목관절 발바닥쪽 굽힘이 나타나 지 않으면 힘줄파열을 의미

파열부위의 함몰을 촉지하여 검사

 

 

 

반응형

'국가고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브룬스트롬(brunnstorm) 접근법  (0) 2023.11.24
탈구 간단 정리  (2) 2023.11.20
물리치료 기형 간단 정리  (1) 2023.11.20
관절 질환 간단 정리  (2) 2023.11.19
척추 질환 간단 정리  (0) 2023.1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