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LILNE

이것 저것

국가고시

관절 질환 간단 정리

PT일기 2023. 11. 19. 01:45
728x90
반응형

1. 류마티스 관절염(Rheumatoid arthritis, RA)

1)개요 : 여러 기관을 침범하는 전신성 다관절염 / 자가면역성 질환 / 윤활막의 만성적 비대와 염증 발생 / 종창 과 통증 / 관절운동범위 제한 / 관절경직과 변형

 

2)발생 빈도 및 관절 증상

-발생 빈도 : 여성이 남성에 비해 3~4배 정도 발생 빈도가 높음. 유병률이 증가하여 30~50세 사이에서 가장 많이 이환

-증상 : 관절 윤활막의 급성염증, 판누스 형성, 관절연골이 점차 파괴되어 관절간격이 좁아짐, 염증이 뼈까지 침범, 골성 강직, 관절기능이 완전히 소실

초기에는 통증, 종창, 경직 등이 작은 관절에 대칭적으로 나타남. 주로 아침에 일어났을 때 특이 손가락이 뻣뻣한 느낌이 듦. 더욱 진행되면 염증반응이 증가하고, 관절연골이 파괴되어 관절 간격이 좁아지고, 뼈까지 침범됨. 결국에는 관절운동의 제한, 구축, 근력 약화, 관절 변형을 초래.

 

-판누스(pannus)?

관절 내부 윤활막 조직 세포의 내층에 있는 여러 가지 염증세포로 이루어진 염증성 산출물

 

3)관절 변형

백조목 변형 단춧구멍 변형 MP joint 굽힘, 자쪽편위 엄지손가락 Z변형

손목관절 굽힘, 자쪽편위, 아탈구 팔꿉관절 굽힘, 엎침 어깨관절 모음, 안쪽돌림 엉덩관절 굽힘 무릎관절 굽힘, 밖굽이무릎 갈퀴발가락, 가쪽편위

 

4)류마티스 관절염의 진단 기준

-7개 항목 중 4개 이상, 관절 증상이 최소 6주 이상 지속될 경우

아침 강직 3개 관절 이상에서 관절염 증상 손에서의 관절염 증상 대칭성 관절염 류마티스성 결절 혈청검사상 류마티스성 인자 방사선 검사상 변화

 

2. 골관절염(Osteoarthritis, OA)

1)개요 : 통증과 변형을 일으키는 질환으로서 퇴행성 관절염 / 체중지지를 많이 하는 체중부하관절에 주로 침범 / 중년.노인 호발 / 관절연골의 퇴행성 변화.관절면의 과잉 뼈 형성

 

2)발생 빈도, 방사선 소견, 관절 증상

-발생 빈도 : 남성<여성, 중년 이후>젊은 층, 다리>(체중부하 관절에서 발생률 높음-무릎관절. 엉덩관절, 어깨관절, DIP, 허리, 목에서 많이 발생)

-방사선 소견 : 관절 간격이 점점 좁아져 소실, 벼의 뼈끝이 날카롭게 변화되어 뼈곁돌기(spur)를 형성

-관절 증상 : DIP에서 헤버딘 결절, genu varum>genu valgum, 휴식 시 통증완화, 종창과 압통(ROM제한), 운동 시 피로감, 관절경직골성 강직, 관절 기형, 관절 기능 상실, 국소적 열과 발적

 

3. 통풍성 관절염(Gouty arthritis)

1)개요 : 퓨린의 대사장애로 인해 혈중요산이 증가하여 요산 결정체가 관절과 연부조직에 침착하여 염증을 유발 / 특히 엄지발가락, 발목관절, 무릎관절에 많이 발생

 

2)증상, 발생 빈도

-증상 : 급성 염증성 관절염과 함께 매우 극심한 통증 / 종창, 홍반, 열감, 압통 / 엄지발가락의 MP joint에서부터 시 작 / 주로 야간에 심함 / 만성 결절성 통풍은 3~12년 후

-발생 빈도 : 30~50대 남성에게서 많이 발생

4. 활액막염(Synovitis)

1)증상과 중재

-증상 : 급성 활액막염-관절 주위의 발열, 발적, 운동 시 통증, 근위축 / 삼출액이 유입되어 종창발생

만성 활액막염-장기적인 염증으로 인해 윤활막 비대 / 만성 종창, 관절운동범위 제한, 근력약화, 둔통

-중재 : 급성기-휴식과 냉찜질

후기-탄력붕대(혈액순환을 방해하지 않을 만큼의 힘으로 감아서 삼출된 윤활액의 재흡수를 도움), 조기에 운 동치료, 통증 유발 없는 범위 내에서 점진적으로 관절운동 진행

 

5. 건초염(Tenosynovitis)

1)증상(외상성, 세균성 구분)와 중재

-증상 : 외상성 건초염-염증반응, 윤활액의 증가와 종창, 압통, 염발음, 예리한 통증, 힘줄 운동성 상실

세균성 건초염-초기에 세균성 염증반응으로 널힘줄을 통해 주위 조직 감염, 힘줄 자체 파괴, 국소적 열, 체온 점차 상승/ 후기에 유착, 반흔조직 형성, 구축, 팔다리기형 발생, 관절 운동성 제한·상실

-중재 : 안정 또는 고정시켜 통증과 염증을 완화 / 유착이 있는 경우에는 마사지가 효과적 / 능동관절운동

 

-드퀘르벵 병(de Quevain's disease)이란?

협착성 힘줄윤활막염 / 해부학적 코담배의 긴엄지벌림근, 짧은엄지편근에 만성적 힘줄 활막염으로 발병 / 핑겔스타인검사

 

-거위발 모양(pes anserine) 점액낭염(Bursitis)이란?

반복적인 달리기, 장시간의 보행, 무릎 관절에 골관절염이 있을 때 주로 발생

근육-sartorius, gracilis, semitendinosus

 

반응형

'국가고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브룬스트롬(brunnstorm) 접근법  (0) 2023.11.24
탈구 간단 정리  (2) 2023.11.20
물리치료 기형 간단 정리  (1) 2023.11.20
연부조직 병변 간단정리  (0) 2023.11.18
척추 질환 간단 정리  (0) 2023.1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