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선천성 팔의 기형
1)Sprengel's deformity (선천성 위쪽어깨뼈)
-개요: 선천적으로 정상위치보다 2~10cm위쪽에 위치하는 기형
-임상적 특성: 양측 어깨뼈 높이가 비대칭, inferior angle이 안쪽회전, 여성>남성(3~4배),
왼쪽>오른쪽, 편측 기형 시 기운목 또는 척추옆굽이 동반,
주된 침범근육은 어깨세모근
-평가와 검사: 몸통-어깨뼈의 운동장애로 발생한 심한 벌림운동 제한
2)Dupuytren's contracture (뒤피트랑 구축)
-개요: 연부조직병변으로 손바닥근막에 진행성비후와 구축 → 손가락관절에 굽힘구축 유발
-임상적 특성: 중·노년층 남성 호발, 4·5번째 손가락에 호발, 백인종>유색인종, 양측성,
오른쪽손가락 호발,
굽힘구축- 손허리손가락관절, 몸쪽손가락관절
중립자세- 먼쪽손가락관절
2.선천성 다리 기형
1)congenital dislocation of hip (CDH, 선천성 엉덩관절 탈구)
-개요: 한쪽 또는 양쪽의 넙다리뼈머리가 골반절구로부터 선천적으로 부분적 또는 전체적인 탈구나 아탈구를 일으키 는 상태 (완전탈구/탈구/아탈구), 조기발견 힘듦
-임상적 특성: 엉덩관절의 벌림제한, 넙다리 안쪽 측부 피부주름의 비대칭, 넙다리부의 단축
피부주름의 궁둥뼈-볼기 피부주름이 비정상적으로 나타나면 탈구의 존재확률 높음
양측성은 lordosis발생
넙다리뼈의 큰돌기부가 넬라톤선의 뒤-위쪽에서 촉지 됨
-중재: 수술, 석고고정, 패브릭보장구
-넬라톤선: ASIS에서 궁둥뼈돌기를 이은 선
-특수감별검사
Barlow test(탈구유도검사): 탈구를 유발하여 탈구성 관절을 진단
Ortolani's test(정복유도검사): 탈구된 넙다리 뼈머리를 절구오목내로 정복
Telescoping test(상하움직임검사): 절구오목에서의 넙다리뼈머리 아래위의 비정상적 움직임이 나타남
Trendelenburg test: 중간볼기근의 약화로 탈구의 환측 다리로 체중부하 시 반대측 건측골반이 아래로 떨어지는 병 적증상
Galeazzi's sign or Allis sign: 바닥에 양측 엉덩관절과 무릎관절을 60~70도 정도 굽힘 후 무릎관절 앞면에서 관찰하 면 탈구측 무릎의 윗단면 선이 건측보다 낮아진 경우
-넙다리목몸체각: femur의 중심과 뼈의 수직선이 이루는 각 (정상120)
2)Coxa vara (안굽이엉덩관절)
-개요: 넙다리뼈의 목과 몸체각이 정상보다 감소하고, 목부위에 심각한 골화 결손이 있으며, 환측다리의 단축을 초래
-임상적 특징: 편측성- limping gait, 트렌델렌버그 보행적 파행, 옆굽음증증가
양측성- wadding gait, 앞굽음증 증가
-방사선 검사, 수술적 중재
3)Genu valgum, Knock-knee (밖굽이무릎)
-개요: 무릎이 과도하게 안쪽으로 휜 상태와 정강뼈의 먼쪽부위가 가쪽을 향한 상태를 말하며, 넙다리뼈와 정강이뼈 의 해부학적 축의 각이 정강 170~175도 보다 작을 때
-임상적 특성: 정강뼈는 가쪽돌림, 발은 안쪽돌림
: 넙다리뼈의 앞비틀림각증가로 인한 W자세
-평가와 검사: 보통 선 자세에서 무릎을 완전 폄 동작시킨 후 발목관절의 양 안쪽복사뼈의 거리를 측정
4)Genu varum (안굽이무릎)
-개요: 가쪽으로 활모양으로 휜 상태, 정강이뼈와 종아리뼈의 먼쪽이 안쪽을 향한 상태, 넙다리뼈와 정강이뼈의 해부 학적 축의 각이 180도 이상
-임상적 특성: 보행 시 발을 많이 벌리고, 발가락이 안쪽으로 향하는 안쪽발가락보행
: 체중이 가쪽으로 쏠리는 오리걸음
-평가와 검사: 안쪽복사뼈에서 서로 밀착 후 무릎관절에서 벌어지는 정도로 검사
3.Congenital talipes equino-varus (선천성 안쪽말발)
-임상적특성: 특징적인 네가지 변형- 발꿈치들림휜발, 안쪽번짐, 모음, 휜발
: 골격계의 변형이 가장 심한 뼈는 목말뼈, 양측성, 남성>여성
-평가 및 검사: 앞-뒤 목말-발꿈치각이 어린이 정상각(30~55도) 보다 작은 경우
-중재: 데니스 브라운 보조기, 앞발부의 모음→ 뒷발부의 내반→ 발목관절의 말발 순으로 교정
: 6세 이전은 연부조직 유리술 / 6세 이후는 삼중관절 고정술
-페이스 선(feiss line): 첫 번째 metatarsal bone head와 madial malleolus의 중심을 이은선
(평발검사-선 밑으로 발배뼈가 있으면 양성)
4.척추의 기형
1)Torticolis, wry neck (기운목)
머리가 환측의 어깨로 기울고 목이 회전하면서 얼굴과 턱이 반대측(건측)의 어깨 쪽으로 편향
목빗근의 구축으로 발생하며, 얼굴의 비대칭성이 생김
2)Scoliosis (척추옆굽음증)
-개요: 해부학적 정중앙 축에서 측방으로의 만곡 또는 편위
구조적- 척추의 모양이 변형, 척추의 앞쪽굽힘 시 갈비뼈 돌출고 현상이 나타남
비구조적- 척추의 구조는 정상, 척추의 앞쪽굽힘 시 척추의 옆굽음증의 현상이 없는 경우
특발성- 원인불확실, 구조적 척추옆굽음증, 청소년기 호발, 여성多
선천성- 척추에 연골화 및 골화의 이상이 있는 옆굽음증
-임상적 특성: 이마면에서 볼 때 S형과 C형이 있음
:추체는 보통 볼록하고 가시돌기는 오목
-평가와 검사: 방사선, 굽이의 크기 측정은 Cobb's방법으로 측정
: 등부위의 돌출고 확인(Sky line검사로서 환자의 몸통을 앞쪽으로 90도 굽힘 후 뒤쪽에서 환자의 등을 보면 볼록면이 오목면보다 높게 올라와 있음)
'국가고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브룬스트롬(brunnstorm) 접근법 (0) | 2023.11.24 |
---|---|
탈구 간단 정리 (2) | 2023.11.20 |
관절 질환 간단 정리 (2) | 2023.11.19 |
연부조직 병변 간단정리 (0) | 2023.11.18 |
척추 질환 간단 정리 (0) | 2023.1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