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LILNE

이것 저것

물리치료

골절 질환 간단 정리

PT일기 2023. 11. 21. 01:47
728x90
반응형

1. 골절의 정도에 따른 분류

-완전골절: 양측 피질의 연속성이 완전히 소실되는 경우, 성인

단순골절, 감입골절, 분쇄골절, 개방골절, 합병골절, 압박골절

-불완전골절: 한쪽 피질의 연속성만 소실되는 경우, 소아

생목골절(그린스틱 골절), 균열골절, 관통골절, 함몰골절

 

2. 뼈유합의 종류

-부정유합: 유합이 되긴 했으나 골편들이 원래의 해부학적 위치가 아닌 상태로 유합되는 것

-지연유합: 골절이 유합될 수 있는 충분한 기간동안 치료했음에도 유합이 지연되는 상태이나 치유과정이 완전히 정 지된 상태는 아님

: 계속 치료하면 유합 가능성이 있는 상태

-불유합: 뼈유합기전이 정지되어 유합의 가능성이 없는 상태

: 일정 간격으로 촬영한 방사선상에 골절부 양 끝이 둥글고 진하게 되어 골절선이 선명하게 나타나며, 뼈유 합의 진전이 없고 뼈의 연속성에 결손이 나타남

 

3. 불유합의 호발부위

-정강뼈아래 3분의1 부위의 골절

-노뼈먼쪽 골절

-넙다리뼈목 골절

-위팔뼈중간 골절

-자뼈몸쪽 골절

-손배뼈 골절

 

4. 베네트 골절(Bennett fx)과 콜레스 골절(Colle's fx)

-베네트 골절: 1번째 손허리뼈 몸쪽과 노뼈쪽 탈구가 동반된 관절 내 골절

: 약간 굽혀진 엄지손가락에 축으로 충격을 받아 손허리뼈 바닥부가 탈구되고, 바닥부 앞면에서 골편 이 견열됨

-콜레스 골절: 손바닥을 짚고 넘어질 때 간접력에 의해 발생하는 노뼈먼쪽 뼈몸통 끝 골절

: 노손목 관절면에서 1.5인치 이내에서 가로방향으로 골절되고 노뼈먼쪽의 뒤쪽전위와 아래팔의 먼쪽 부분의 부종에 의해서 변형이 나타남

포크형 변형(dinner fork deformity)

: 중년기 이후 여성 / 손목의 통증과 변형, 부종, 손이 약해짐

5. 손배뼈 골절

-개요: 손목뼈를 폄 및 노쪽 굽힘한 위치에서 손바닥으로 짚고 넘어져서 발생

: 외력이 크고 손목관절의 폄 각도가 90도 이상일 때 주로 발생

: 젊은 연령층의 성인 남자에서 주로 호발

: 먼쪽 노뼈 골절의 1/10정도, 모든 손목뼈 골절의 60%

-합병증: 무혈성 괴사, 수지 기능장애, 퇴행성 관절염, 불유합과 부정유합

 

6. 몬테지아 골절(Monteggia fx)과 갈레아찌 골절(Galeazzi fx)

-몬테지아 골절: 자뼈 몸쪽 골절+노뼈머리 탈구

: 아래팔을 직접 가격하거나 강제로 pronation되는 경우에 발생

: 아래팔을 강제로 pronation하는 경우에는 자뼈의 골절과 각 변형을 초래하여 결국 노뼈머리가 탈 구됨

 

-갈레아찌 골절: 노뼈 먼쪽 골절+ 아래노자관절 탈구

: 역몬테지아 골절 or 필요골절

: 손목관절의 뒤가쪽면에 직접적 타격을 받거나 심한 뒤침 위치로 손을 뻗친 상태에서 땅을 짚고 넘 어질 때 발생

 

7. 팔꿉관절 골절 시 합병증

-뼈되기근염(화골성근염): 골절과 같은 외상이나 기계적 상해가 반복적으로 계속 되었을 때 근조직 속에 뼈 성분이 침착되어 화골을 형성하는 것

-볼크만 허혈성 구축: 일반적으로 아래팔부의 앞쪽구획에 발생한 구획 증후군

-개머리판 변형(안굽이 팔꿈치): 5도 이하의 운반각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장 흔함

 

8. 엉덩관절 골절의 합병증

-무혈성 괴사, 불유합, 골관절염

 

9. 포트골절(Pott fx)과 뒤피트랑 골절(Dupuyfren fx)

-포트골절: 안쪽복사뼈 골절+세모인대손상 동반

: 안쪽 번짐력이 가해졌을 때 발생

-뒤피트랑 골절: 먼쪽정강종아리인대의 파열, 정강이뼈와 종아리뼈 사이의 뼈사이 인대 파열, 종아리뼈 골절, 목말뼈 탈구 동반

: 발로 떨어졌을 때 발생

 

10. 골절 시 정형외과적 처치, 고정 시 물리치료 중재, 고정 제거 후 물리치료 중재

-정형외과적 처치: 정복, 고정

-고정 시 물리치료 중재: 애벌뼈의 형성과 뼈유합 촉진, 순환 증진, 유착방지를 위한 온열치료

: 무용성 위축 방지, 근수축 회복을 촉진하기 위한 전기치료

: 혈액순환 증진, 유착형성 방지, 부종감소를 위한 운동치료(등척성 운동, 수의운동)

: 관절가동성과 근력 유지

: 정형도수물리치료(관절가동술, 마사지)

-고정 제거 후 물리치료 중재: 부종감소

: 근육단축에 대한 길이, 운동성, 근력, 기능 회복

: 물리적 인자 치료(온열치료, 전기치료, 수중치료)

: 운동치료(관절가동운동, 신장운동, 저항운동)

: 정형도수 물리치료(관절가동술, 연부조직 가동술)

반응형

'물리치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렌켈 운동  (0) 2023.12.12
루드 접근법(Rood approach)  (1) 2023.11.22
물리치료 차트 약어 용어 정리  (2) 2023.11.16
2021 물리치료 의료법규 별칙부분 정리  (2) 2021.11.09
보이타(vojta) 치료  (2) 2021.0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