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목 신경뿌리병증(경 신경근병, Cervical radiculopathies)
1) 팔신경얼기(상완신경총) 구조
-팔신경얼기의 시작은 목 신경뿌리와 가슴 신경뿌리 5개가 나와서 3개의 신경몸통을 형성하고, 빗장뼈 아래 근처에서 다시 3개의 신경다발을 형성하며 다시 하부에서 여러 갈래의 종말가지로 나눠지면서 팔에서 근육피부신경(musculo cutaneous N), 겨드랑신경(axillary N), 노신경(radial N), 정중신경(median N), 자신경(ulnar N) 등의 중요한 말초신경들을 형성
2) 개요 및 병인
-팔의 말초신경질환은 팔신경얼기 손상으로 시작
-그 첫 부분이 목 신경뿌리병증이고 이는 척수에서 나오는 목 앞뒤 신경뿌리가 나옴
-주로 추간원반(disc)이나 후관절(facet jt.) 질환으로 이 신경이 손상을 받음으로써 나타나는 신경뿌리병증
-C6 디스크 병변에 의한 C7 신경뿌리가 압박되는 경우가 많음
3) 물리치료
-디스크 탈출이나 퇴행성 질환으로 인한 경우는 견인치료로 추간구멍사이를 넓히기
-퇴행성 질환으로 인한 경우는 굽힘운동으로 추간공을 넓혀주고 디스크 돌출의 문제가 있으면 폄운동으로 수핵의 위치를 전방으로 유도
-Routine(ROM유지, 위축방지, 변형방지)
2. 에르브마비
1) 개요
-분만마비
-위팔형(upper plexus type)
2) 임상증상
-C5 신경뿌리 부분의 손상으로 오는 운동장애는 rhomboids, deltoid, supraspinatus, infraspinatus, teres minor, biceps brachii, brachialis, supinator
-C6 신경뿌리 부분의 손상으로 오는 운동장애는 deltoid, biceps brachii, brachioradialis, radial wrist extensors
3. 크룸프케마비
1) 개요
-몸통과 팔 사이에서 심한 견인에 의한 손상으로 발생
-아래팔형(lower plexus type)
2) 임상증상
-C8과 T1 신경뿌리 모두가 손상을 입었다면 손의 모든 내재근과 손목관절 및 손가락의 긴굽힘근의 마비와 위축
-C8신경뿌리손상 운동장애 long thumb flexor, hand intrinsics, ulnar wrist flexor&extensor
-T1 신경뿌리손상 운동장애는 때때로 손의 내재근에 한정
-특히 제1흉추 부위의 교감신경이 손상받으면 호너증후군이 나타남
-C8과 T1 신경뿌리의 동시 손상으로 오는 운동장애는 손의 모든 내재근과 손목관절 및 손가락의 긴굽힘근에서 나타남
3) 물리치료
-Routine
(1) 교정지지
-맞섬부목(opponens splint), 너클밴드부목(knuckle bender splint)을 결합한 형태의 보조기
(2) 전기자극치료(EST)
(3) 운동치료
-엄지의 맞섬운동은 매우 중요
4. 긴가슴(장흉)신경병증 (Long thoracic neuropathy)
1) 개요
-C5,6,7
-serratus anterior을 지배하는 신경
-무거운 물건을 어깨로 지거나 어깨뼈의 골절 외상이나 수술 시에 흔히 손상을 받아 일어남
2) 임상증상
-어깨관절을 굽히면 winging scapula
-어깨뼈 하각의 돌출이 심함
3) 물리치료
-Routine
-어깨관절 덧동작을 유지하기 위해 빗장뺘와 어깨뼈에 관절가동운동 실시
-어깨부딪힘 증후군이 유발되지 않도록 함
-serratus anterior 기능 증진
6. 겨드랑(액와)신경병증 (Axillary neuropathy)
1) 개요
-C5,6
-어깨관절 탈구나 위팔뼈 골절, 겨드랑 목발에 의한 압박, 어깨관절의 갑작스러운 젖힘 등 주로 외상으로 인해 발생
2) 임상증상
-어깨관절의 굽힘, 벌림, 가쪽돌림의 약화
-어깨관절의 부분 (아)탈구 발생으로 어깨통증
-운동장애는 deltoid, teres minor의 기능상실이나 위축, 약화
-감각상은 어깨외측 군복배지 부착부에서 나타남
-DTR은 biceps, brachioradialis, triceps 모두 정상
3) 물리치료
-Routine
7. 노(요골)신경병증 (Radial neuropathy)
1) 개요
-C5,6,7,8,T1
-신경이 겨드랑으로 해서 위팔뼈의 중간에 있는 나선상 고랑을 ᄄᆞ라 지나가기 때문에 골절 시 손상을 받기 쉬움
-위팔뼈 중간이나 관절융기위 골절에서 생긴 날카로운 골절편이나 이차적인 연부조직 손상 또는 가골의 형성에 의한 심한 손상, 목발이나 지혈대 압박이나 기타 외부의 압박으로 인해 일시적인 손상 (토요일밤마비; Saturday night palsy, 신혼밤마비; honeymoon palsy)
2) 임상증상
-겨드랑부위, 위팔나선고랑, 몸쪽 아래팔 손상으로 나눌 수 있음
-손상의 공통적인 결과는 손처짐(wrist drop) *wrist drop은 cock-up splint
(1) 겨드랑 부위 손상
-운동장애는 노신경이 지배하는 팔의 모든 근육에서 마비 혹은 약화가 나타남
-감각상실은 요측 손등에서 나타남
-DTR은 brachioradialis, triceps에서 약화나 상실
-손가락, 손목관절, 팔굽관절의 폄기능 상실
-손처짐이 나타나고, 겨드랑 부위에서 티넬징후가 나타날 수 있음
(2) 위팔 나선고랑 손상
-운동장애는 노신경이 지배하는 아래팔부 폄근들과 brachioradialis 기능상실이나 약화
-감각상실은 노측 손등에서 나타나고, DTR은 brachioradialis에서는 상실, triceps는 정상
(3) 몸쪽 아래팔 손상
-운동장애는 extensor carpi radialis와 supinator의 기능약화나 상실
-감각상실은 없음
-DTR은 triceps와 brachioradialis 모두 정상
-손가락 폄과 자측 손목 폄의 기능상실
-노골두 주위의 아래팔 노신경 부위에서 티넬징후가 나타날 수 있음
-팔굽관절부에서 통증이 테니스팔꿈치와 비슷하게 나타날 수 있음
(4) 노신경의 표피감각지 손상
-손통증감각이상
-감각상실은 노쪽 손등
-운동장애는 없음
-DTR 정상
3) 물리치료
-Routine
(1) 교정지지
-콕업부목(cock-up splint)
·손목관절: 완전 폄 또는 거의 완전 폄에 가깝게
·손허리손가락관절: 젖힘이 아닌 상태의 폄
·손가락관절: 자유롭게
·엄지관절: 벌림과 폄 중간 위치
8. 정중신경병증(Median neuropathy)
1) 개요
-C6,7,8,T1
-위팔뼈 위관절융기 골절 후 동반된 이차적 합병증, 총상, 관통 자상, 외상, 신전으로 손상
-아래팔의 골절로 인한 볼크만허혈성구축이나 pronator teres syndrome에 의해서도 발생
-콜리스골절, 반달뼈의 앞어긋남으로 인해 손상을 받을 수 있음
-손목굴이 골절이나 힘줄집염, 활액막염 등으로 인해 압박받게 되면 손목굴증후군을 일으킴
2) 임상증상
-원숭이 손(ape hand)
(1) 위팔손상
-아래팔과 엄지두덩 위축과 기능상실, 약화
-운동장애는 thumb opposition, index finger flexion, distal thumb flexion, radial wrist flexion, forearm pronation의 기능상실
-위팔에 있는 정중신경을 따라 티넬 징후가 나타날 수 있고, 손가락에서 원숭이손의 변형
(2) 팔굽관절부 손상
-아래팔과 엄지두덩 위축과 기능상실, 약화
-운동장애는 thumb opposition, index finger flexion, distal thumb flexion, radial wrist flexion 기능상실
-티넬징후가 나타날 수 있고, 손가락에서 원숭이손의 변형
(3) 앞뼈사이 손상
-운동장애는 flexor pollicis longus, flexor digitorum profundus, index finger flexor, long finger flexor, pronator quadratus 기능약화나 상실
-‘O’형을 만드는 동작 불가능
-손가락에서 원숭이 손의 변형
(4) 손목부 손상
-1,2,3 손가락의 약화나 혼몽, 감각이상, 통증, 팔굽관절이나 어깨까지 방사되는 연관통증
-손을 흔들거나 손이 매달려 있을 때 증상 완화
-손목굴 위에서 티넬징후, 팔렌검사에서 양성반응을 보이는 손목굴 증후군
3) 물리치료
-Routine
(1) 교정지지
-맞섬부목
·엄지: 맞섬과 벌림
·손가락: 약간의 굽힘
·손목관절: 약간의 굽힘
·아래팔: 엎침
(2) 운동치료
-정중신경마비에 대한 일반적인 운동방법의 예
·부드러운 정구공을 집는 운동이나 꽉 쥐는 운동
·여러가지 크기의 공을 집는 운동
·주먹을 쥐었다 폈다 하는 운동
·엄지의 끝과 각 손가락의 끝을 접촉시켜 ‘O'형 만들기 운동
9. 자(척골)신경병증 (Ulnar neuropathy)
1)개요
-C8, T1
-팔굽관절 혹은 손목관절 부근의 열창이나 위팔뼈 또는 위팔뼈 안쪽관절융기 골절 및 팔굽관절 어긋남 등에 의하여 손상
-팔굽관절부에서 팔꿈치굴 증후군으로 불리우는 지연자신경마비를 유발
-손목관절 부근에서는 자굴이란 협소한 관을 지나는데 여기서 결절종 등에 의해 압박을 받아 자신경 마비 증세인 자굴증후군을 나타낼 수 있음
2) 임상증상
-위팔, 팔굽관절부, 손목부 손상으로 나눌 수 있음
-손상의 공통적인 결과: 비숍손(축복의 손)
(1) 위팔손상
-아래팔의 자쪽손목굽힘근과 4,5번째 깊은손가락굽힘근, 손의 내재근에서 나타남
-2~5번째 손가락의 벌림과 모음, 4,5번째 손가락 먼쪽지절사이 관절의 굽힘, 손목관절 자뼈 쪽 굽힘의 기능약화나 상실
-손의 변형은 가벼운 갈퀴손(claw hand)
-프로멘트 징후 양성, 신문징후
(2) 팔굽관절부 손상
-아래팔의 자쪽손목굽힘근과 4,5번째 깊은손가락굽힘근, 손의 내재근인 뼈사이근, 새끼두덩 근, 4,5번째 벌레근의 장애
-손의 변형은 가벼운 갈퀴손
-프로멘트 징후 양성, 신문징후
(3) 손목부 손상
-손의 내재근에 위축, 심한 갈퀴손 변형
-프로멘트 징후, 신문징후, 티넬징후는 손목 부위의 자신경 주행부를 따라서 나타남
3) 물리치료
-Routine
(1) 교정지지
-너클밴드부목
·엄지: 모음
·손가락: 폄
·손허리손가락관절: 굽힘
·손목관절: 약간의 굽힘
(4) 운동치료
-근력증강을 위한 운동은 수의적 근활동이 있으면 즉시 시행
-종이집기 운동, 노신사운동
'물리치료 > 신경계 질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척수구멍증(척수공동증, Syringomyelia) (1) | 2023.12.01 |
---|---|
말초신경질환(peripheral neuropathies) (1) | 2023.11.30 |
다발성 경화증(Multiple sclerosis) (1) | 2023.11.28 |
다리 말초신경 질환(lower extremity peripheral nerve diseases) (2) | 2023.11.27 |
길리안-바레 증후군(Guillain-Barre Syndrome) (1) | 2023.1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