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뇌신경검사
1. 빛반사 ( 동공반사 ) - 직접 , 간접빛반사 모두 소실시 → 눈돌림신경
간접빛반사만 존재시 → 시각신경병변
2. 눈돌림신경 – 아래빗근 , 위곧은근 , 중간곧은근 , 아래곧은근 지배
+ 눈꺼풀 위로 올리는 위눈꺼풀올림근 , 안검하수 관여
3. 삼차신경
1) 감각검사 – 눈을 감고 , 눈부위 or 아래턱부위 or 위턱부위
2) 운동검사 – 깨물근 , 씹기근 , 안쪽/가쪽날개근
4. 각막반사 – 면봉으로 각막을 자극함. 두눈 깜빡이는게 정상이고, 비정상일시 삼차신경 & 얼굴신경 병변
5. 속귀신경
1) 웨버검사 – 소리굽쇠를 머리 중간 , 이마 중앙에 두고 양쪽귀에서 들리는 소리크기가 같은지를 비교
2) 린네검사 – 소리굽쇠를 꼭지돌기에 대었다가 귀로 가져간다.
6. 혀인두신경 – 구역질반사
7. 더부신경 – SCM , 등세모근 근력검사
※ 수정된 애쉬워스 척도
0 | 근긴장도 증가 없음 |
1 | 끝범위에서 저항 |
1+ | 절반이상에서 저항 |
2 | 대부분 운동범위에서 근긴장 + 손상된 부분은 쉽게 움직임 |
3 | 근긴장증가로 수동운동이 쉽지않음. |
4 | 경직 |
※ DTR
0 | 결손 |
1 | 감소 |
2 | 정상 |
3 | 항진 |
검사법 | 검사방법 |
호프만 반사 | 가운데 손가락 튕김 → 엄지 검지 굽힘 |
바빈스키 반사 | 발바닥 자극 → 엄지발가락 펴지고 , 나머지발가락 굽혀지거나 벌어짐 |
오펜하임 반사 | 정강이뼈 가쪽을 긁으면 바빈스키와 같은반응 |
고든반사 | 종아리를 쥐어짜면 엄지발가락이 펴진다. |
차도크반응 | 복숭아뼈 자극시 엄지발가락이 펴진다. |
+ 고든손가락반사 , 트롬너반사 , 마리포아반사 , 비보징후 → 비보징후를 제외하고는 전부 UMN , 피드미드길 손상 징후 |
※ 병적반사
※ 표준화된 검사도구
검사법 | 검사방법 |
수정된 바델지수 ( MBI ) | 10문항 / 5가지 / 100점 만점 |
기능적 독립 측정 ( FIM ) | 신체영역 ( 13 ) 인지영역 ( 5 ) , 총 18개 항목 1 ~ 7 점으로 평가되며 126점 만점 |
케츠의 일상생활활동 도구 | A – 6개의 기능이 완전히 독립적 B는 5개 C는 4개 ..... G는 완전 의존적인 단계 |
PULSES 프로파일 | 6개 영역 / 24점 만점 |
ADL 검사도구
2. 균형검사도구
검사법 | 검사방법 | |
버그균형척도 ( BBS ) | 14개 항목 ( 앉은자세 ~ 한 발로 서기 ) / 5단계 / 56점 만점 | 동적균형 |
일어서서 걷기 검사 ( TUG ) | 앉은자세에서 3m 떨어진 표시지저믈 돌아서 제자리로 돌아옴. 보통걸음 , 의자 팔걸이사용 가능 , 보조도구 가능 다른사람의 도움은 금지 / 10초이내는 정상 , 20초 이상 도움필요 |
|
기능적 뻗기 검사 ( FRT ) | 양발을 움직이지 않고 팔을 뻗는 검사 | 예측균형 |
3. 보행평가
검사법 | 검사방법 |
10m 보행검사 | 보행속도 검사법 |
기능적 보행지수 | 3m를 걸을 때, 보행자 능력을 관찰하며 0 ~ 5단계로 구성 |
6분 보행검사 | 보행거리 , 호흡 , 심혈관계 , 순환계 통합검사 가능 30m는 확보 or 3m 마다 180도 돌아 걸어도 됨. 보행보조도구 가능 , 다른사람 도움 X , 가능한 빠른 보행으로 실시 |
5. 인지기능 검사
검사법 | 검사방법 |
간이 정신상태 검사 ( MMSE ) |
30점 만점으로 24점이상 정상 , 14점 이하는 중증치매 |
※ 질환별 평가도구
뇌졸중 평가도구
검사법 | 검사방법 |
Fugl – Meyer 평가 | 운동기능의 회복단계를 기초로 기능적 회복단계를 양적 평가 / 226점 만점 |
수정된 Rivermead 이동성 지수 | 이동기능평가 , 15개항목 2점 척도 |
운동평가척도 ( MAS ) | 근긴장도를 포함한 9가지 0~6점 54점만점. |
직선 이등분 검사 | 편측무시 검사 ( 그림구분 ) |
알버트 검사 | |
수행목적 이동 사정법 ( POMA ) | 낙상위험도 측정 |
뇌졸중환자 자세평가척도 ( PASS ) |
2. 파킨슨병 평가도구
검사법 | 검사방법 |
수정된 HY 척도 | 파킨슨병 환자의 증상 정도를 나타내는 6단계 척도로 개발 , 현재 8단계 |
Schwab & England ADL | 파킨슨 환자의 ADL 평가도구 / 10개항목 0% ~ 100% |
PDQ – 39 | 파킨슨병 환자의 삶의 질을 측정 |
3. 외상성 뇌손상 평가도구
검사법 | 검사방법 | |
글라스고우 혼수척도 | 언어 , 눈 , 운동반응으로 구성 13 ~ 15점 경도 / 12 ~ 9점 중등도 / 3 ~ 8점 중증 / 5점 이하 식물인간 |
|
글라스고우 결과등급 척도 | 민감도는 떨어지나 , 양적으로 측정이 가능하여 많이 사용 1 사망 / 2 식물인간 / 3 중증장애 / 4 경도장애 / 5 양호한 회복 |
|
라파포트 장애등급 척도 | 글라스고우 혼수척도의 단점을 보완 / 0 ~29점 , 30등급 | |
갈베스톤 지남력 ,기억력 | 외상성뇌손상 환자의 지남력 기억력을 평가한다. | |
란초 로스 아미고스 | 3. 국소적 반응 | 자극에 명확하게 반응하지만 조화롭지 않음. 눈을 감거나 주먹을 쥐는것같은 간단한 명령에 조화롭지 못함 |
4. 혼란 - 어수선함 | 행동은 이상하고 목적없이 즉시 관계함. 말하는 것이 일관성이 없거나 주위에 적합하지 않음 격의 없는 의견교환 |
|
5. 혼란 - 부적당함 | 환경에 대한 주의를 설명하나 마음은 흐트러짐. 특별한 업무에 주의를 집중시키는 능력이 결핍 말하는 것은 부적합하고 격의없는 의견교환 가끔 물건의 사용이 부적당 , 전에 배운일은 수행하나 새로운 정보를 배울수는 없음. |
|
6. 혼란 - 적당함 | 지시된 내용을 보여주나 외부의 지시에 의존 명령에 따라 자기를 보호하려고 하는것들이 일관성이 있다. 반응은 기억의 문제들에 의해서 부정확하나 상황은 적당 |
4. SCI 평가도구
검사법 | 검사방법 | |
ASIA 장애척도 | A | S4,5분절까지 운동 감각 마비 |
B | 감각은 존재 , 항문수의적 수축이 불가능 | |
C | 손상부위 이하 근력등급 3 이하 | |
D | 손상부위 이하 근력등급 3 이상 | |
E | 정상 | |
SCIM | SCI 환자를 위한 ADL 평가도구로써 100점 만점 |
5. 협조검사
검사법 | 검사방법 |
손가락 코 검사 | 손 코 손 코 손 코 |
손가락 맞대기 검사 | ET |
발꿈치 정강이 검사 | 발꿈치로 반대다리 정강뼈를 따라서 슥 ~ |
지시검사 | 머리 위로 팔을 올려서 내리면서 대상자 집게손가락과 검사자 손가락이 닿도록 하는 것. |
반동검사 | 양팔을 앞으로 올려서 치료사 아랫방향으로 내림 |
※ 통증평가척도
검사법 | 검사방법 |
시각적 사상 척도 ( VAS ) | 0 ~ 10 |
숫자 척도 | 0 ~ 100 |
언어비율 척도 | “ 없다 , 경도 , 중도 , 중증 , 매우 중증이다 “ |
안면 표정 점수 | 얼굴표정 , 객관적 |
▲ 호너증후근 – T1이상의 교감신경 병증 ( 안검하수 , 축동 , 무한증 , 안구함몰 )
※ 자율신경계 검사법
▲ 자율신경계 반사부전 – T6 이상 척수손상시 수개월 이후 땀분비 , 소름 , 홍조 , 털세움등 집단반사장애
검사법 | 검사방법 |
활력징후 | 체온 , 혈압 , 맥박 , 호흡 |
발살바 검사 | 순환기계 질환 , 심부전등있을 때 사용 혈압변화 – 교감 // 박동수 변화 - 부교감 |
한랭승압검사 | 차가운물 혈압승압검사 / 교감신경 검사 |
안구압박검사 | 부교감신경 검사 |
목동맥팽대 검사 | 정상반응 – 교감신경 억제 , 미주신경 활성으로 혈압 하강 , 부교감 |
얼음물 담그기 검사 | 교감신경 검사 |
요오드 전분 검사 | 발한 검사 |
환기캡슐법 |
※ 지각장애
실인증 – 사물을 인식하는 능력이 결여된 상태 ( 마우스를 보고도 뭔지를 이해 못함 )
전경배경구별 – 배경으로부터 목표를 구별해내는 능력
입체실인증 – 시각적단서없이 촉각 지각만 사용해서 물건을 인식할수없음.
서화감각장애 – 피부에 쓴 글자 , 숫자 , 모양을 인식하는 능력의 장애
신체도식장애 – 자신의 신체자세와 신체부분들의 관련성을 지각하지 못하는 것.
관념운동실행증 – 과제의 목적 , 개념을 이해하더라도 목적있는 움직임을 수행하지 못함.
관념행위실행증 – 물건을 사용하는데 필요한 지식과 순서개념의 부족
검사법 | 검사방법 |
시지각검사 ( MVPT 성인 ) | 뇌손상 성인의 시지각능력 평가 , 편측무시있는 환자도 가능 |
시지각발달검사 ( DTVP ) | 0 ~ 100 |
색상단어검사 ( Stroop ) | 선택적 주의 집중 검사 , 주의 집중력을 평가함. |
※ 기타질병
질병 | 검사방법 |
헌팅턴병 | 유전병 , 중년기발병 , 느리게 진행 통합된 헌팅턴병 평가척도 |
다발성경화증 | 확장된 장애상태척도 , 피로도 척도 , 쿠르츠케 |
척추이분증 | 알파벳 디자인 검사 |
※ 발달장애아동
검사법 | 검사방법 |
수정된 웩슬러 아동지능검사 , 유아지능검사 |
아동의 지적능력을 검사하여 정신지체나 신경심리학적 손상을 알아보기 위함. |
덴버발달 선별검사 | 발달지연을 선별하기 위하여 설계된 도구 치료사의 관찰과 부모의 보고로 검사 대단위운동 , 소단위운동 , 언어 , 개인/사회로 구성 ( 4개 영역 ) |
대단위운동 기능측정 ( GMFM ) | 뇌성마비 아이들의 동작을 양적으로 측정 88개 항목 / 66개 항목 두가지 버전으로 구성 눕기 , 구르기 , 걷기 , 뛰기 , 점프하기 5개 영역으로 구성 |
아동용 기능적 독립 측정 ( WeeFIM ) |
아동들의 일상생활동작의 독립성 측정 / 18개 항목 |
피바디 운동발달 척도 | 아동의 운동 기술의 지연이나 이상을 확인하는 검사척도 대단위운동 , 소단위운동을 포함하는 총 6개 영역으로 구성 |
※ 우울증 평가척도
검사법 | 검사방법 |
노인우울척도 ( GDS ) | 30문항으로 구성 / 총점도 30점 |
단축형 노인우울척도 ( SGDS ) |
15문항으로 구성 / 총점도 15점 |
Beck 우울 척도 ( BDI ) | 21개 문항 / 총점 63점 |
'국가고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시] 피부물리치료 간단 정리 (5) | 2024.12.01 |
---|---|
[국시] 심폐물리치료 간단 정리 (5) | 2024.11.30 |
[국시] 전기치료 정리 #3 (1) | 2024.01.01 |
국시 근골격계 질환별 정리 (1) | 2023.12.31 |
[국시] 전기치료 정리 #2 (1) | 2023.1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