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LILNE

이것 저것

국가고시

[국시] 심폐물리치료 간단 정리

PT일기 2024. 11. 30. 01:47
728x90
반응형

 

심장

복장뼈 뒤 , 두 개의 폐사이에 위치함.

가슴우리 안에 위치해있으며 , 약간 왼쪽으로 치우침.

아래로는 가로막이 존재함.

 

심장의 구조 ( 4개의 방 )

1) 우심방 온몸을 돌고 온 정맥혈이 위대정맥 , 아래대정맥을 통해 들어오는 곳으로써 삼첨판막을 통하여 우심실 전달

2) 우심실 삼첨판막을 통해서 온 정맥혈을 허파판막을 지나 오른 , 왼허파동맥으로 나뉘어서 폐로 이동.

3) 좌심방 왼허파정맥 2, 오른허파정맥 2에서 온 동맥혈이 들어오는 곳으로 이첨판막(승모판)을 통해 좌심실 전달

4) 좌심실 이첨판막을 통해서 온 동맥혈을 대동맥판막을 지나 대동맥을 타고 온몸으로 순환시키는 곳.

 

허파판막 , 대동맥판막은 3개의 반달형태의 판막으로 반달판이라고도 부름.

오른심실 < 왼심실이 심장벽이 두껍다 ( 강한 수축을 필요로 해서 )

왼심실 압력 80 ~ 120 // 우심실 압력 15 ~ 30

타원구멍 태아때는 폐순환 X , 우심방에서 좌심방으로 직접이동 , 출생후 막히고 타원오목 이 됨.

 

심장동맥 심장근육에 지속적으로 에너지 공급을 위해 혈액이 공급되는 곳으로써 좌심실의 이완시 혈액을 유입

 

2. 심장벽 구조

1) 심장내막 내피세포로 덮여있음

2) 심근 가장 두꺼운층으로써 가로무늬근 , 불수의근 , 자동적으로 활동전위를 발생시킬수있음.

흥분성과 전도성을 가지는 특수섬유 , Ca이온을 세포액으로부터 공급받는다.

심장근육은 틈새이음으로 연결되어있어서 이온의 이동이 쉬워지고 , 다핵질융합체로써 심방의 흥분이

직접심실로 전달되지 못하고 특수한 흥분전도계가 필요.

3) 심장바깥막

4) 심장막 ( 섬유심장막 , 장막심장막 , 심장막공간 ) - 심장막공간내 윤활제로 마찰을 줄여줌.

심장내막 심장근육 심장바깥막 심장막
장막심장막 심장막공간 장막심장막 섬유심장막

 

3. 혈관의 구조

동맥 3층구조 , 속막 ( 내피세포 ) , 중간막 ( 평활근 , 혈관의 수축이완 ) , 바깥막 ( 결합조직과 혈관 고정 )

모세혈관 근육층이없으며 , 모세관을 통해 확산등의 물질교환 발생.

정맥 3층구조 , 동맥보다 지름이 넓은 것이 특징이며 , 판막이 존재

 

순환

체순환 좌심실 대동맥 동맥 소동맥 모세혈관 소정맥 정맥 대정맥 우심방

폐순환 우심실 폐동맥 폐포의 모세혈관 폐정맥 좌심방

 

심장의 신경구조

심장은 운동신경 지배를 받지않고 , 자율신경계 지배

교감신경 : 알파수용체 , 베타1수용체 , NE 심장의 수축력 증가 , 박동수 증가

부교감신경 : 아세틸콜린 , 미주신경 심장의 박동수 감소

 

4. 심장의 주기

심방의 수축은 심실의 이완기 동안발생 , 심실의 수축은 그반대

 

1) 좌심방에서 좌심실로 혈액을 이동시키는 좌심실 이완기때는 방실판막이 열려있으나, 좌심실이 수축을 시작하면.

좌심방보다 압력이 높아져 방실판막이 닫히게되면서 심음이 발생 1 심음

 

2) 이후 방실판막이 닫힌상태에서 계속 수축을 하여 좌심실내 압력이 대동맥내 압력보다 커지면 대동맥판막이 열리면서

혈액을 분출하고 이때의 압력을 수축기 혈압이라고 함.

 

3) 심실의 수축이 끝나고 심실이 이완을 하면서 대동맥내 압력보다 낮아지게 되면 대동맥 판막이 닫힘 2심음

 

Rt Sternum + 2 rib 대동맥판막

Lt Sternum + 2 rib 폐동맥판막

Rt Sternum + 5,6 rib 삼첨파막

Lt Sternum + Mid Clavicle 이첨판막

 

우심실 비대 팔로네 징후

 

5. 심장의 자극전도계

스스로 흥분파를 발생시켜 심장을 수축시킨다.

 

1) 굴심방결절 오른심방 & 위대정맥 사이에 위치하여서 여기서 자극전도계가 시작되며 심방근 전체로 퍼진다.

2) 방실결절 SA node AV bundle의 이음부 , 심방의 혈액이 심실로 충분히 전달 되도록 방실지연 발생

3) 방실다발 우각 , 좌각으로 나뉘어서 심실로 흥분을 전달

4) 푸르킨예섬유 히스다발 이하의 자극 전도계로써 매우 빠름.

 

굴심방결절 방실결절 방실다발 ( 히스다발 ) 푸르킨예섬유

 

심장 박출량 1회 박출량 X 심박수

 

 

 

 

 

 

 

 

 

 

 

 

 

 

 

 

심혈관계 질환

6대증상 가슴통증 , 호흡곤란 , 두근거림 , 실신 , 부종 , 피로감

 

허혈성 심장질환

동맥경화등으로 심장동맥이 막혀 , 필요한 양만큼의 혈류량을 공급받지 못하여 심장근에 대사산물이 쌓임

 

1) 고콜레스테롤혈증 혈중의 콜레스테롤 수치가 과도하게 높은 상태

2) 죽삭동맥경화증 동맥 벽속에 생긴 외상에 의하여 혈관내경이 줄어들고 딱딱해지는 질환

3) 협심증 심장에서 산소공급이 심장조직에 산소요구량보다 부족하였을 때 심장근의 허혈현상으로 일시적 가슴통증

안정협심증 신체활동 or 스트레스에 의하여 5~15분간 발생 , 휴식시 통증 X

불안정협심증 휴식 or 저강도 신체활동에도 통증이 발생. 15분이상 자주발생

,, 치아 , 왼팔등으로 통증 압박감등이 발생하며 니트로글리세린에 의해 완화됨.

3) 심근경색 심장혈관이 완전히 막혀서 심장근육이 괴사되는 것.

4) 돌연사 원인이 되는 질병이 나타난후 1시간 이내에 사망하는 것.

 

2. 울혈성 심장질환 들어오고 나가는 혈액의 양이 불균형하여서 혈액이 고여 기능저하가 발생

 

3. 고혈압

수축기 140mmHg / 이완기 90mmHg 이상일 경우 고혈압이라고 판정 ( 본태성 , 이차성으로 구분 )

 

4. 기타심장질환

1) 부정맥 심장속도나 리듬의 장애로 굴심방결절에서의 전기신호이상

2) 가슴막삼출 심장막에서의 액체가 비정상적으로 축적되어 심장을 압박하는 현상

3) 저혈압 수축기 100 / 이완기 60 이하

 

심전도

한칸당 1mm / 세로축은 한칸당 0.1mV / 가로축은 한칸당 0.04

P심방근의 탈분극 , 0.1& 0.25mV 이하

PR간격 심방탈분극 심실탈분극 , 0.12& 0.2mV 이하

QRS복합 심실근의 탈분극 , 0.06& 0.1mV 이하

+ Q파는 QRS복합 크기를 1/3이상 초과 X

4. ST분절 심실이 완전히 탈분극되어 두 지점 사이에 전압차가 없어 등전위

5. T심실근의 재분극 / 정상 T파는 R파 높이의 2/3 미만

 

P QRS T파 존재 60이하시 굴느린맥 , 100이상시 굴빠른맥

T파가 없음 심방빠른맥 ( 140 ~ 250 ) , 심방조동 ( 260 ~ 320 ) , 심방세동 ( 320 ~ 600 )

- 심실빠른맥 ( 140 ~ 200 ) , 심실조동 ( 200 ~ 300 ) , 심실세동 ( 300 이상 )

 

 

 

 

 

 

 

 

운동부하검사

운동을 하면서 심호흡계 및 혈관계의 능력을 평가하는 것.

운동강도가 점진적 증가하는 동안 심장에 산소공급이 혈액을 통해 충분히 이루어지고 있는가를 검사

심장질환 진단 , 심장질환의 진행과 치료효과 , 안전한 신체활동을 위한 기능적 능력 평가 , 위험도 측정 및 예후 평가

충분한공간 , 응급제세동기 , 22도 습도 50% , 12시간동안 과도한운동 X , 검사 3시간전 흡연 , 음식섭취 X

 

운동부하검사 대상 / 적응증 1.-1 운동부하검사의 절대적금기증

심장동맥질환가슴통증 , 정도 , 예후 급성 , 고위험 , 예측할 수 없는 , 조절되지않는 , 대동맥협착

비전형적 가슴통증

의학적 or 수술적치료의 중재 효과 평가

부정맥 , 활동시 고혈압 평가

기능적 능력 평가 운동처방을 위한 평가

생활방식 개선 동기 제공

 

2. 검사장비

트레드밀 , 고정식자전거를 가장많이 사용.

1) 트레드밀 난간을 꼭 붙잡는 경우 심전도 정확성 감소 , 균형X 검사자는 가볍게 잡아도 됨. + 응급 멈춤 버튼

2) 고정식자전거 가격이 저렴하고 , 소음도 적고 , 팔과 몸통 움직임이 적어 정확한 심전도 측정 , QMS 피로로 종료

 

3. 검사프로토콜

최대부하검사 종료기준에 해당하는 증상이 나타나거나 최대 심박수에 도달하였을 때 종료

최대하부하검사 예정된 종료시점에서 검사를 중지

절대적 징후 상대적 징후
수축기 혈압이 10 이상 감소 , 다른 허혈성 증상 동반시
중등도로 심한 협심증
신경계 증상 ( 실조 , 어지러움 , 실신 )
관류 부족 증상 ( 창백 , 청색증 )
모니터링 기계적 결함
피검자의 중지요구
진단적 Q파 없이 ST상승 (1mm 보다 크거나 같거나 )
수축기 혈압이 10 이상 감소 , 다른 허혈성 증상 동반 X
과도한 ST 하강 ( 2mm 이상 ) , QRS의 변화
피로 , 호흡곤란 , 쌕쌕거림 , 다리경련 , 파행
가슴통증 증가
고혈압반응 ( 250 이상 , 115 이상 )

 

 

Balke 프로토콜 여성에 적합

Bruce 프로토콜 정상인 , 위험요인을 가진사람

Modified Balke 프로토콜 노인에 적합

Modified Bruce 프로토콜 성인병 , 고위험요인

 

 

 

 

 

 

 

심장 물리치료

 

심장수술 전 물리치료

환자에게 사전설명 환기 , 호흡 , 기침교육 수술후 회복력 빠름 + 치료사 신뢰,협력 증가

분비물 제거

호흡운동

효과적인 기침훈련 기침의 순서교육 ( 몸통 폄하면서 들숨 , 유지 , 굽힘하면서 날숨 )

덧대기 기침 ( 수술후 수술부위 베개등으로 감싸서 기침 )

, 다리운동 순환증진 , 혈전예방

어깨 & 팔운동 및 자세 교육 어깨 올리는 동작 및 자세유지

 

 

2. 심장수술 후 물리치료

1) 수술당일 인공호흡기를 착용하지 않으면 환자와 협력하에 호흡운동 실시

2) 1 ~ 2일후

인공호흡 , 석션으로 분비물제거

호흡운동 인공호흡을 하지않고 활력징후가 안정적일시 실시

기침훈련 효과적인 자세 , 단계로 실시

, 다리운동 + 어깨 & 팔운동

3) 3 일후

호흡운동 , 기침훈련 , 발다리운동 , 어깨 & 팔운동 ( 모든 범위 ) , 가벼운 몸통운동

걷기 평지 걷기 // 계단은 10일 후 실시

 

3. 퇴원전

가슴우리 , 양쪽 어깨 움직임 회복

과도한 숨가뿜없이 2층 높이 계단 오름

 

운동 (FITT) - 빈도 , 강도 , 시간 , 중재의 종류

 

1.강도

1) Borg의 운동자각도

준비운동 / 마무리운동 9 ~ 11 유지 , 절정활동 13 ~ 15 범위

10 11 보통 / 12 13 약간 힘들다 / 14 15 힘들다 / 16 17 많이 힘들당

 

2) 호흡곤란지수 정상인은 준비운동 / 마무리운동시 15까지 세는데 1 ~ 2회 숨을 쉼.

심장재활프로그램 환자교육목적
1단계 - 입원기
2단계 - 퇴원직후 외래로 ECG 집중적 모니터
3단계 - 외래기 ecg모니터 X , 대근육 & 저항운동
4단계 - 지역사회 유지기
환자와 임상자와의 신뢰향상
건강장애/상태에 대한 지식증가
물리치료 치료계획에 대한 지지 증가
건강관리비용 감소
건강관리 선택에서 정보의 유용성 증가

 

 

 

호흡기계 구조와 기능

 

호흡기계 가장 중요한 기능 CO2 & O2의 교환 + 체온조절 , 후각 , 산염기 평형조절 , 체액균형 , 균형 , 발성

 

호흡

1) 환기 대기와 허파꽈리 간의 기체교환

2) 외호흡 혈액과 공기간의 기체교환

3) 내호흡 혈액과 조직간의 기체교환

 

호흡기계 뼈대

1) 등뼈 아래로 갈수록 커지며 , 갈비뼈머리와 관절을 이룬다. T11 , 12를 제외하고는 갈비뼈 결절과 관절을 이루는

관절면이 TP에 존재한다.

2) 갈비뼈 12개의 갈비뼈는 등뼈와 연접하며 , 7쌍은 복장뼈와 5쌍은 거짓갈비뼈 형태를 띄고 있다.

7번까지는 길어지다가 , 점점 짧아진다.

3) 복장뼈 자루 , 몸통 칼돌기로 구성

 

2. 가슴우리 움직임

1) 펌프손잡이 움직임 복장뼈 중심의 움직임 ( AP 공간을 확장 )

2) 양동이손잡이 움직임 갈비뼈 중심의 움직임 ( Transverse 공간을 확장 )

3) 가로막 수축 움직임 가로막의 수축으로 공간이 넓어지고 , 이완으로 공간이 줄어든다 ( Vertical 공간을 확장 )

 

3. 가슴벽의 외부 형태

1) 유아 앞뒤좌우 간격이 유사함

2) 성인 좌우간격이 앞뒤간격에 비해 길어짐

3) 노인 노화로 인하여 다시 원형

3) COPD 앞뒤간격이 넓어지는 , 술통모양으로 변함

 

4. 호흡기계 근육

Main MS 가로막

가로막은 L3 하방 , 갈비뼈 하방 , 칼돌기에서 시작 힘줄중앙으로 모인다.

수축시 공간을 넓혀주고 , 이완시 공간이 줄어든다.

 

1) 보조근육

들숨근 : 바깥갈비사이근 , 갈비올림근 , 등세모근 , 어깨올림근 , 마름근 , 목빗근 , SCM , 가슴근 , 앞톱니근

날숨근 : 배가로근 , 배곧은근 , 배빗근 , 안쪽갈비사이근

 

5. 가슴막

가슴막압은 폐내압 , 대기압보다 5 정도 낮아서 , 폐의 용적이 커지더라도 저항으로 작용하지 않는다.

 

1) 폐쪽가슴막 (장쪽)

2) 벽쪽가슴막

3) 가슴막공간 Fluid로 인해서 마찰을 방지

 

 

6. 호흡기계 경로

코안인두후두기관기관지세기관지종말세기관지호흡세기관지허파꽈리관허파꽈리주머니허파꽈리

후두까지를 상부기도라고 부르며 그 밑을 하부기도

 

1) 공기를 따뜻하게 데워주고 , 수분기를 있게 해준다 , 후각 & 이물질 제거

2) 인두 코인두 , 입인두 , 하인두로 나뉘고, 하인두는 식도까지 위치함 ( 인두는 소화,호흡기계 공통용어 )

3) 후두 C4 ~ C6쯤에서 시작하여 4cm정도

후두덮개 음식물의 기도 흡인 방지

목뿔뼈 음식물이 잘넘어가도록 축 역할

방패연골 - 아담스애플

모뿔연골 쌍을 이룸

반지연골 성대

4) 기관 C6 ~ T5 정도까지 위치하고 T5에서 분지한다. C자모양으로 뒤쪽으로 구멍이 있음.

C자모양 끝에는 부드러운 상피세포가 있고, 그 밖에 섬모가 존재하여 가래등 이물질을 옮겨주는 역할

C자형 커브 끝에 서로를 이어주는 결합조직이 있고, 노화시 줄어든다.

5) 기관지 2cm 정도로 시작하여 5mm까지 가늘어진다. 우측으로 세가지 , 좌측으로 두가지이며

우측가지가 수직가 가까워 이물질 침입이 더 잦으며 기관과 마찬가지로 섬모가 존재

6) 세기관지 섬모존재 , 위 둘과 같이 거짓중층섬모원주상피

7) 종말세기관지 섬모존재 X

8) 호흡세기관지 17번째 가지이며, 기체교환이 일어나기 시작하는 실질적인 호흡레벨

9) 허파꽈리관 폐포끼리를 이어준다.

10) 허파꽈리주머니 폐포의 묶음

11) 허파꽈리 허파꽈리관에 많이 분포하고 , 허파꽈리주머니에 전체적으로 분포한다.

상피에 호흡상피가 있어서 모세혈관과의 가스교환을 할 수 있다.

 

호흡기계 기능

환기 대기와 허파꽈리간의 기체교환으로 , 압력이 높은곳에서 낮은곳으로 이동한다.

기체교환 허파꽈리내의 공기와 허파꽈리 모세혈관 벽의 가스교환으로 공기의 분압차에 의한 확산으로 발생한다.

O2 , CO2의 분압차를 말한다.

 

우심실에서 정맥혈의 피를 폐동맥으로 보내면 , 대기중에서 들어온 공기와 분압차이로 혈관 , 공기 사이에

기체교환이 이루어진다. 그로인해 피는 동맥혈이되어 좌심방 , 좌심실을 거쳐 대동맥을 타고 조직으로 이동하고,

움직임들으로 CO2 분압이 높아진 조직과의 분압차로 기체교환이 발생한다. 이후 정맥혈이 된 혈액은 다시 우심방으로

 

혈관에서의 O2의 움직임은 99% 헤모글로빈과 결합하여 움직이고, 나머지는 혈장에 녹아 움직인다.

혈관에서의 CO2의 움직임은 70% H2O와 결합하여 움직이고, 20%는 헤모글로빈과 결합하고 , 5%는 혈장에 녹아 움직임.

 

 

 

 

 

 

 

 

폐용적과 용량

구분 정의 용량/용적
1회호흡량 ( TV ) 안정시 상태에서 들이마쉬고 내쉬는 용량 500
들숨예비용적 ( IRV ) 정상호흡에서 들숨후 최대로 더 흡입할 수 있는 용량 3100
날숨예비용적 ( ERV ) 정상호흡에서 날숨후 최대로 더 내뱉을 수 있는 용량 1200
잔기용적 ( RV ) 최대로 날숨을 한 후에도 남아있는 용량 1200
폐활량 ( VC ) 최대 들숨후 최대 날숨의 용량 4800
들숨용량 ( IC ) 정상적 들숨양 + 최대한 들숨양 3600
기능적잔기용량 ( FRC ) 정상적 날숨양 + 잔기용적 2400
총폐용량 ( TLC ) 잔기용적 + 폐활량 6000

 

호흡량 1분동안 호흡기를 통해서 들어오고 나간 기체의 양 ( 1분간 호흡수 X 일회호흡용적 )

환기량 1분동안 기체교환에 참여한 기체의 양 즉, 허파꽈리환기량 ( 1분간 호흡수 X ( 일회호흡용적 사강용적 ) )

최대산소섭취량(VO2MAX) - 심박출량 ( 1회 박출량 X 심박수 ) X 동정맥산소차

 

목표심박수 호흡계 질환의 운동강도 , 운동수행시 신체적 반응의 지표가 되는 심박수 정도를 설정하는 것

휴식시 심박동수 + ( 최대 심박동수 휴식시 심박동수 ) X 강도

 

사강용적은 150ml 이다.

환기 , 호흡량의 비율은 0.8 정도이다.

 

산소해리곡선

헤모글로빈이 몇 개의 산소와 결합되어 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이자 능력

 

세로축 산소포화도 , 가로축 산소분압

 

산소분압 40 에 산소포화도 75정도이며 그래프가 오른쪽으로 이동한다는건 산소친화성의 감소를 나타낸다.

해발고도가 높아짐 , 온도가 높아짐 , 산소분압이 낮아짐 , 이산화탄소 분압이 높아짐 , PH가 낮아짐.

 

 

 

 

 

 

 

 

 

 

 

 

 

 

호흡기계 질환

대표증상 : 기침 , 호흡곤란 , 가슴통증 , 가래 , 쌕쌕거림 ( 호흡곤란은 호흡기계질환의 핵심적인 증상 )

 

폐기능검사

폐의 역학적 기능 평가를 위해 실시하며, 이미 연구된 기존자료를 근거로 평가함

성별 , 연령 , , 몸무게 , 인종등을 고려함

폐의 질환 , 기능이상 , 치료에 따른 예후 , 수술후 합병증 예상 , 질환의 조기발견

1) 폐활량검사 시간에따라 측정

 

VC는 천천히 / FVC는 최대의 노력으로

1) 최대 노력성 날숨곡선 COPD 환자의 정상적으로 보이는 폐활량을 구분

2) 노력성 폐활량 ( FVC ) - 최대들숨후 최대날숨, 정상인에서는 FVC = VC 지만 , COPD 환자에게서는

천천히 숨을 내쉬어 측정하는 VC에 비해 FVC가 작게 측정.

특히, 제한성폐질환 환자에게서 크게 감소하기 때문에 제한성폐질환의 임상적 지표

3) 1초간 노력성 날숨량 ( FEV1 ) - 최대들숨 후 노력성 날숨을 시작하고 1초간 내쉰 호흡량

COPD 환자들은 FEV1의 확실한 감소가 있어 임상적으로 중요한 지표

4) FEV1/FVC 비율 보통 70%가 정상이며 , COPD에서는 FEV1이 감소하므로 비율도 감소하고

제한성폐질환에서는 FEV1의 감소는 적고 , FVC의 감소가 큼으로 정상 or 증가하게됨.

폐쇄성폐질환 FEV1 감소 FEV1/FVC 70% 미만
제한성폐질환 FVC 감소 (80 아래) FEV1/FVC 70% 이상

 

 

2. 유량 용적 곡선

폐활량측정을 시간에 따른 유량의 변화로 측정한 것.

초기부분은 상기도저항 + 환자의 노력여부로 결정됨으로 경사가 급하고 정점에 이르게 됨.

그 이후에는 노력여부보다는 기도저항 , 폐의 탄성에 의해 결정됨으로 완만한 경사를 나타냄.

들숨시에는 노력의존부분으로 중간에서 정점을 이루고 대칭을 이룸.

 

1) 폐쇄성 폐질환 날숨장애로 인하여, 곡선이 왼쪽으로 기우는 좌우가 길고 위아래가 짧은 형태

곡선이 왼쪽으로 기울고 아래쪽으로 급격한 치우침

2) 제한성 폐질환 용적이 감소하고 유량감소는 크지않기에 상하로 높고 좌우가 좁은 형태

 

 

 

 

 

 

 

 

 

 

 

 

 

 

 

3. 폐쇄성 / 제한성폐질환

폐쇄성 폐질환 제한성 폐질환


만성기관지염
천식
폐공기증 ( 폐기종 )
기관지확장증



사이질폐섬유증
호산구증가 폐침윤
사르코이드증
진폐 , 규폐증

결핵
폐확장부전증
폐렴
폐색전증

 

1) 폐쇄성 폐질환

만성기관지염 오랫동안 기침과 가래가 발생하는 만성폐쇄성폐질환

산소공급부족으로 푸른색 청어 현상 , 점액성가래 심해지면 고름가래 발생

 

폐공기증(폐기종) - 폐포의 과팽창으로 호흡이 짧아짐. 폐포의 탄력섬유의 파괴가 진행되어 호흡시 가스교환 감소

폐포의 탄력저하는 날숨을 저하시키고 이산화탄소 분압을 증가시킴 구멍이많은 탄력성없는 폐

분홍색 복어 현상발생 , 원통형가슴 , 편평해진 가로막

 

천식 - 기관지가 아주 예민해진 상태로, 기관지가 좁아져 숨이차고 가랑거리는 숨소리가 들림 알레르기 반응

기관지 염증으로 부종 및 경련이 발생하여 기도가 좁아져 공기흐름이 원활하지못해 호흡곤란 발생

발작성기침 , 쌕쌕거림 , 얕은호흡 , 가슴통증 , 개기침

 

기관지확장증 - 기관지가 복구될수 없을 만큼 비정상적으로 확장되는 질환

점막층에 점액 , 궤양등으로 불쾌한 냄새가 섞인 기침 , 가래량 증가 , 고름 , 피가래 + 곤봉손가락

 

2) 제한성 폐질환

사이질폐섬유증 폐의사이질 침범질환으로써 상처치유를 위해 세포증식이 나타나고 이때 비정상적인 섬유가 증식

사이질의 부종 , 염증으로 피곤 , 확산능력감소 & 사망률이 매우 높다.

호산구증가 폐침윤 백혈구의 호산구가 증가하여 폐 침범

사르코이드증 (유육종) - 전신 염증 질환

결핵 세균성 만성 감염병으로써 전염성이 높으며, 초기에는 가벼운 기침등이 발생하고, 증세가 나타나면 피로감

식욕감퇴 , 체중감소 , 발열등이 발생함.

폐확장부전증 폐가 팽창한 상태를 유지 못함.

폐렴 감염성에 의하여 발생하는 염증 질환으로써 면역력이 낮은 노인 유아에서 이차적 합병증으로 많은 사망을 일으 킬수 있다. 폐손상이 발생하며 호흡기능상실 , 기침 , 빠른호흡등이 발생

폐색전증

 

+ 무기폐는 X-ray상 하얗게 보임.

+ 폐기종은 X-ray상 가로막이 평편해짐.

 

 

 

 

시진

1) 술통 ( 원통 )형 가슴 가슴우리의 전후경이 증가 , COPD / 폐기종

2) 새가슴 복장뼈가 앞으로 돌출되어 전후경이 증가 , 구루병

3) 오목가슴 복장뼈가 함몰되어 밑에 기관이 눌리는 장애를 말함

 

2. 호흡시 가슴우리의 양상

1) 쿠스마울 호흡 깊고 빠른 호흡 , 당뇨병환자가 나타내는 특유의 호흡

2) 제한폐질환 얕고 빠른호흡

3) 폐쇄폐질환 오므린 입술호흡

 

3. 호흡양상

1) 한숨호흡 과도한 환기 증후군 ( 호흡곤란 , 졸림의 원인 )

2) 체인스톡스 호흡 호흡과 무호흡 교차 , 뇌손상 ( 대뇌반구 양쪽 or 사이뇌 )

3) 실조호흡 - 예측할 수 없는 불규칙성 , 숨뇌손상

4) 만성폐쇄성호흡 허파는 과도하게 확장되고 , 호흡은 얕아짐. ( 그래프가 점점 줄어들고 빨라짐 )

5) 편평호흡 일어나 앉으면 심하고 누우면 편해짐

 

4. 가슴외 전신진찰

1) 곤봉손가락 정상 ( 160) , 180도 이상시 기관지확장증등의 질환의심

2) 청색증 혀와 , 손톱색이 파랗게 보임 . 산소포화도 85% 미만

 

 

 

 

 

 

 

 

 

 

 

 

 

 

 

 

 

 

 

 

 

 

 

기도청결기법

1. 타진 폐쇄가 있는 폐분절이 위치한 가슴우리 외벽을 두드리는 것으로 원뿔모양의 오므린 손으로 자극해준다.

+ 타진이 금기되는 환자

적용 가슴우리에 골절 , 척추고정술 , 골다공증 , 종양

폐색전증 환자

출혈이 쉽게 발생할수 있는 상태인 환자

불안정 협심증

수술치료로 가슴벽 통증

 

2. 진동 양손을 배출하고자 하는 폐분절에 대고 다양한 빈도로 작은 진폭의 진동을 만듬.

3. 흔들기 날숨을 쉬는동안 가슴우리에 리드미커란 진동을 줌. 진동에 비해 큰 진폭으로 가슴을 흔들어줌

4. 도수과팽창 도수환기주머니를 적용하여 폐유순도 및 기침량을 증가시킬 목적으로 사용

도수환기주머니로 공기를 주입하고 가슴아래 부위를 힘껏 눌러줌 ( 두명이서 많이함 )

 

기도청결을 위한 기침법

기침 기도의 분비물제거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요소

1) 흡입단계 들숨, 후두덮개를 열어 최대 들숨으로 폐가 최대 팽창되게 노력하는 단계

2) 압박단계 배근육 , 가슴근육을 동시에 수축하여 가슴우리 압력을 최대로 올림

3) 배출단계 배근육 , 가슴근육을 최대 수축하여 입을 통해 폭발적으로 방출

 

가쁜기침 COPD환자의 분비물을 상부기도로 이동시키기위하여 하부기도내의 양압을 오랫동안 유지하기 위하여

1 , 2초 동안 수차례 끊어서 가쁘게 기침을 하는 형태를 말함.

 

3. 보조기침 ALS 같은 들숨근 , 날숨근이 모두 약화되는 질병 or 경수손상등에서 기침능력저하는 사망원인

치료사나 보호자의 손을 환자의 복부에 두고 환자가 기침시 날숨근을 대신하여 복부를 압박해 보조함.

들숨량이 부족하여 기침시 날숨량이 부족할 경우에는 도수과팽창같은 기술로 수동적으로 주입

 

4. 덧대기기침 복부나 가슴에 수술자리 통증으로 기침을 크게할 수 없고, 기침시 몸통의 요동으로 통증이 심하거나

폐이식등으로 가슴수술받은 환자에게 절개부위에 손이나 베개등의 덧대기를 한후 기침을 시도하며

덧대기를 하지않았을 때 보다 강한 기침을 할 수 있어 기도청결에 유리

 

기도 분비물 배출

체위배출법 중력을 이용하여 분비물이 말초 기관지로부터 중앙기관지로 옮겨져 기도 밖으로

배출될 수 있게 치료하고자 하는 폐분절을 치료 원리에 맞게 자세를 정해서 일정 시간 시행

 

COPD환자에게 효과적임.

타진 , 진동 , 흔들기와 능동주기호흡기술등을 함께 사용 가능.

처음시작시 하루310분씩으로 시작하여 하루32시간씩으로 점차 증가

머리의 압력이 증가하므로 뇌혈류역학 문제 질환 , 기도내 삽관 , 식도역류 , 호흡곤란 , 심리적불안 금기

 

 

 

 

 

 

호흡운동

가로막 호흡 가로막의 기능을 최대한 유지하기 위하여 사용하며 , 어깨와 가슴근육을 충분히 이완시키고 한손은

앞가슴 복장뼈 중앙부 , 한손은 복부 중앙에 위치시켜 들숨시 복부에 위치한 손이 돌출되고 날숨시

다시 들어가는 되먹임 훈련을 실시

 

2. 오므린입술운동 코로 숨을 들이마신후 모으린 입을 통해서 자연스럽게 천천히 내쉬는 방법 ( COPD )

호흡빈도수를 줄여주고 , 1회 호흡량을 늘려주며 가슴가동성 , 호흡보조근 근력동원을 증진

 

3. 양압날숨호흡운동 날숨시의 공기잡힘현상을 막기 위해 시도하는 오므린입술호흡시 얻을 수 있는 효과를 쉽게

얻을 수 있고 운동할수 있게 기구형태로 만든 것으로 아카펠라 ’ , ‘ 쎼라피 사용

기도내 양압유지에 효과적이며, 날숨양이 유지되는데 큰도움을 줌,

양압날숨호흡운동 + 진동 = 플러터 , 진동이 있어 분비물 배출에도 효과적 , 휴대성과 간편함. ( 소형공이 있음 )

 

4. 들숨근저항운동 들숨시 주동근인 가로막의 근력과 근길이를 원래의 상태로 되돌리는 것을 목적으로 실시함.

 

5. 능동주기호흡기술 천식 , 세가지 기술을 반복시행 ( 호흡조절 , 가슴팽창운동 , 노력성 날숨 기술 )

 

6. 혀인두호흡운동 , 입술 목근육으로 만 호흡하는 모습 때문에 개구리 호흡이라고 불리우며, C레벨 SCI 환자 or

응급상황에서 폐환기를 할 수 있게 해주는 호흡운동

 

7. 폐분절호흡운동 폐렴과 무기폐로 호흡곤란을 겪는 환자 , 수술받은 환자는 통증 . 근방어 등을 원인들로

전체 폐의 일부분이 충분히 팽창과 이완하지 못해 환기 저하를 계속 악화시킨

문제가 있는 부위의 폐와 가슴벽 팽창을 강조하는 것 중요하며, 환자의 손 , 타올 , 벨트등을 사용

만성가슴통증 , 어깨통증호소시

 

8. 간헐적양압호흡 가래가 쌓여 기도가 막혀있을 때 가래용해제를 분무형태로 작은 기관지에 전달하고 폐유순도 및

폐용적을 향상시키기 위한 호흡운동 치료 , 작은 기도내의 가래를 제거할 수 있고 기도 폐쇄를 예방

해가며 호흡운동을 하여 환기 , 관류비를 증진시킨다.

 

 

환자교육

COPD

1) 효과적 환기를 돕는 자세 호흡곤란등시 몸통 앞쪽 자세 를 사용함.

+ 상체를 앞으로 기울이고 팔을 지지하는 몸통 앞쪽자세

2) 호흡패턴교육

3) 기도청결방법 / 분비물 제거를 위한 손 기술 보호자교육

4) 기침 가쁜기침 강조

 

2. 제한성

숙이는 자세는 별로 안좋음. 똑바로 세우는 자세

1) 호흡훈련 가슴우리를 확장 , 들숨근 날숨근 강화운동 자세

ex) 들숨시에는 팔을 벌리고, 날숨시에는 몸통을 굽히고

2) 폐유순도유지 도수과팽창 , 보조기침등

3) 무호흡예방 수면시

 

 

기타 기도청결을 위한 물리치료 중재

고빈도가슴벽진동 다양한 기도 내 진동 전달에 이해 분비물의 점성을 떨어뜨리고 날숨 기류를 타고 중앙기관지로 이동할 수 있게 해줌으로써 기도청결을 해줌.

기도내타진 환기 고빈도가슴벽진동과 유사한방식이지만, 마우스피스를 통해 기도안으로 전달해주는게 차이점.

 

 

 

 

 

 

 

 

 

 

 

 

 

 

 

 

 

 

 

 

 

 

 

 

 

 

 

 

 

 

 

 

 

 

 

 

 

 

 

 

림프의 구조 기능

림프기관 지라 , 가슴샘 , 편도 , 림프절 등

림프계통 : 림프액 , 림프관 , 림프절로 구성됨.

사이질액 , 림프액등을 정맥혈 순환으로 돌려보낸다 ( 빗장밑정맥 )

폐쇄순환이 아닌 열린순환

중심부 펌프가 아님

 

림프관의 분류

- 모세림프관 (1) - 혈관계통 & 림프계

- 전수집기 (2)

- 수집기 (3) - 실질적인 림프수송관 , 판막존재

- 림프관 심장으로 돌려보내는 역할

 

+ 림프절 여과기능 , 림프구생산

 

모세림프관 전수집기 수집기 림프절 림프관 순서로 이동

 

림프부종

0단계 육안적인 부종확인 X , 사지의 무거운느낌

1단계 부드럽고 누르면 오목하게 들어가는 부종 , 아침기상시 원상복귀 열 운동등에 의하여 부피변화

2단계 압박을 가하여도 부피가 감소하지않는다.

3단계 흉터조직이 두꺼워지고 , 각화과다증을 동반하는 중증의 림프부종

 

림프질환 신체측정법

측정시기를 규칙적 측정한다 ( or 주 단위 )

동일한 부위를 동일한 자세로 동일한 시간대에 측정 ( 주로 아침 )

줄자 측정시 수평이 되고 , 동일하게 당겨서 측정

부종 부위와 반대편 부위를 재서 측정값을 비교

이전 측정 수치와 비교

 

부피측정법 부종부위를 물통안에 넣어서 흘러나온 물을 측정

혈압측정

커프를 피검자의 팔오금 , 커프중심이 위팔동맥에 놓이도록 하고 팔을 심장높이에 위치

청진기 첫 번째 소리가 수축기 혈압 , 소리가 사라질 때 이완기 혈압

 

림프중재

1) 감염 , 손상 피함 - 혈압측정 , , 부황 금지 , 벌레 베임 조심

2) 열 적용 , 격한운동 X 열적용시 혈액순환 급격히 증가 / 수영 , 스트레칭등 가벼운 강도의 유산소 실시

3) 무리한 활동 금지 피로시 휴식

4) 피부상태유지 , 순환방해 X 습하거나 건조하지않고 중간 , 꽉 끼는 옷 피함

5) 림프마사지 피부가 살짝 당겨지는 느낌으로 부드럽고 천천히 / 순서는 몸통에서 먼쪽으로 , 적용은 반대

6) 탄력붕대 , 압박스타킹 스타킹은 부종이 감소한 상태에서 착용 ( 아침 ) , 수면시 벗음

7) 공기압박치료

반응형

'국가고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시] 피부물리치료 간단 정리  (8) 2024.12.01
[국시]신경계 진단평가 정리  (1) 2024.01.27
[국시] 전기치료 정리 #3  (1) 2024.01.01
국시 근골격계 질환별 정리  (2) 2023.12.31
[국시] 전기치료 정리 #2  (1) 2023.1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