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피부의 구조
신체에서 가장 큰 기관으로써 표피 & 진피로 구성됨.
표피 ( 중층편평상피 )
보호 , 수분조절 , 체온조절 , 노폐물 배설등 항상성을 유지
혈관이 분포하지 않음
1) 각질층 – 핵이없고, 표피 두께의 3/4를 차지한다. 피부장벽기능을 담당하고 수분이 잘 통과하지 못하여 건조함을 방지
2) 투명층 – 입술 , 손바닥 , 발바닥에만 분포하며 , 얇고 투명한 엘레이딘이라는 반유동성 물질로 차 있다.
3) 과립층
4) 가시층 – 이웃세포끼리 연결되어있는 세포사이다리를 형성, 림프액이 통과하여 피부의 면역과 영양을 담당한다.
5) 바닥층 – 표피를 진피에 고정 , 케라틴 , 멜라닌 , 메르켈 원반 분포
2. 진피 ( 치밀결합조직 )
진피에는 신경이 매우넓게 분포하고 , 바닥층등에 영양을 공급한다.
1) 유두층 – 성긴결합조직 , 진피의 1/5
2) 그물층 – 아교섬유 , 탄력섬유로 뒤엉킴
3. 감각신경원 종말
자유신경종말 – 통증
마이스너소체 – 촉각
파치니소체 – 압각
루피니소체 – 온각
크라우제끝망울 – 냉각
메르켈원반 – 촉각
4. 피부의 분류
1) 중성피부 – 가장 이상적인 피부 , 조화를 이루고 있고 부드럽고 탄력있고 보습쩔
2) 건성피부 – 수분이 부족한 상태
3) 지성피부 – 기름샘 , 땀샘의 활동이 활발하여 피부 과다분비
4) 복합성피부 – 염증이 쉽게 생기고 , 외부자극에 민감 , 지성건성이 동시에 발생 ( 이마,콧등 지성 / 볼 건성 )
5. 상처치유 기전
염증기 ( 지혈 , 염증반응 ) → 증식기 ( 육아조직형성 , 수축 , 상피화 ) → 성숙기
용어
구진 – 5mm 미만 , 작고 단단한 융기
결절 – 5mm 이상 , 구진과 유사
※ 피부검사법
1. 진단 보조기구를 이용한 피부검사
1) 확대경검사 – 확대해서 봄
2) 우드등검사 – 365nm 자외선을 활용 , 형광반응 발생
3) 압시경검사 – 투명하고 경도가 높은 물체를 가지고 피부에 압력을 가함
2. 미생물학적 검사
KOH , 그람염색법 , 찬크도말 , 옴진드기 , 암시야
3. 피부반응검사
1) 피부접촉검사 – 첨포검사
2) 광검사 & 광피부접촉검사 – 홍반반응
3) 투베르클린
※ 상처
1) 켈로이드 – 상처의 경계를 넘어서서 생기는 흉터조직
2) 비후성흉터 – 경계를 넘어서지 않고 생기는 흉터조직
▲ 상처관리의 중요원칙 – 보호 , 거상 , 청결
※ 욕창
바닥에 닿고 있는 부위에 자주 호발 ( ex 엉치뼈 , 궁둥뼈결절 , 발뒤꿈치 등 )
압박성욕창 – 신체 돌출부의 지속적인 압박으로 발생
당뇨병성욕창 – 말초혈관 순환이 불량 → 조기에 고압산소치료가 필요함.
욕창의 진행단계
1단계 – 피부의 홍반
2단계 – 표피 & 진피의 손상
3단계 – 피부밑조직의 손상
4단계 – 근육층까지 손상
2. 욕창의 평가도구
1) Braden 척도 – 감각 , 습기 , 활동성 , 이동성 , 영양 , 마찰력
2) PUSH 척도 – 면적 , 삼출물 , 궤양의 유형
+ 말초혈관순환검사 – 당뇨병환자에게 중재 또는 검사전 실시
※ 화상
열원에 의해 피부세포가 파괴되거나 괴사되는 현상.
열원의 온도 , 열의 접촉기간 , 조직의 열전도율에 따라서 증상이 갈린다.
화상의 분류
분류 | 손상범위 | 증상 |
1도화상 ( 얕은층판화상 ) |
피부의 표피층만 손상 | 피부의 발적 , 통증 |
2도화상 | 얕은 부분층판화상(표피 ~ 유두층) | 홍반 , 부종 , 수포 |
깊은 부분층판화상(표피 ~ 그물층) | 수포가 파괴 , 붉은색 or 흰색 | |
3도화상 | 피부밑조직 | 흰색 or 갈색 , 신경손상으로 통증 감각 X , 가피형성 , 피부재생 반드시필요 , 쇼크조심 |
4도화상 | 근육층까지 침범 | 절단 , 광범위 피부이식 |
2. 화상의 평가
1) 9의 법칙
머리 & 목 – 9%
몸통 ( 배 , 등 ) - 각각 18%
팔 – 한쪽당 9%
다리 – 한쪽당 18%
생식기 – 1%
2) 런드와 브라우더 표
소아에서부터 성인에 이르기까지 발육에 따른 성장과 발달등을 고려하여 결정 , 특히 팔다리를 세분화
3. 인체의 계통별 증상
1) 피부 – 수분 손실량이 과하게 증가되며 , 상처부위를 통한 세균침입이 쉬워진다.
2) 혈관 – 모세혈관 투과성 증가로 혈류랑은 감소하고 조직간질액은 증가하며 부종이 발생한다.
중증화상에서는 혈액의 농축현상으로 순환이 저하되서 점성이 증가
그밖에 빈뇨 및 급성신부전 초래
4. 의학적 처치
1) 응급
화상원인을 제거하고 , 화상 부위 옷 제거 ( 억지로 제거 X )
소독된 거즈나 천으로 덮어준다. ( 젖은 거즈 가능 )
화학화상은 물로 희석시키고, 다른부위 전이를 막는다
20% TBSA 이상시 수액요법 시작
2) 수술적처리
1) 화상성형 – 비후성흉터등으로 발생한 구축성 흉터를 제거하여 회복과 기능장애를 없앰
2) 괴사조직제거술
5. 물리치료 중재
1) 자세취하기
얼굴 | Half lying |
목 | Supine에서 목 , 어깨 폄 |
어깨관절 | 굽힘 , 벌림 , 가쪽돌림 |
팔꿉관절 | 폄 , 뒤침 |
손목관절 , 손 | 기능적자세 + 손가락 벌림 + 거즈로 감싸줌 |
엉덩관절 | 폄 , 벌림 |
무릎관절 | 폄 |
발목관절 , 발 | 발등굽힘 or 중립자세 |
2) 화상으로 인한 흉터관리
탄성랩 – 상처부위가 전단력에 견뎌내지 못하는 동안 적용
압박의복 – 전단력을 이겨내면 적용하며 순환보조 , 부종을 조절해주고 탈감각화로 소양증을 완화
※ 동상
한랭손상 – 한랭에 의해서 발생하는 손상
동상 – 추운환경에 인체가 노출 체온유지를 위해 말초혈관수축을 하는데 한랭결과로 순환이 감소하고 국소 신체손상 발생
분류
비동결손상 – 빙점이상의 온도에서 손상 ( 참호족 , 침족 , 동창 )
동결손상 – 빙점이하의 온도에서 손상
분류 | 손상 범위 | 증상 |
1도 동상 | 표피층 손상 | 충혈 , 통증 |
2도 동상 | 표피 + 진피 | 수포 , 검은가피 |
3도 동상 | 피부밑조직 | 피부괴사 , 피부감각 X , 검은색 건조 가피 |
4도 동상 | 근육층까지 침범 | 손상 조직 검고 미라화 |
▲ 동창 – 습하고 차가운환경에서 반복적으로 장기간 노출된 경우 발생하며 , 주로 어린이와 여자에게 호발
청색증 , 열기를 받으면 소양감이 증가하고 금방 호전 가능
2. 의학적 처치
건조 + 따뜻한 담요로 덮어준다.
43도 이상의 물은 화상 , 38도 이하의 물은 효과적으로 녹일수 없다.
문지르기 , 마사지 금지 → 얼음결정이 조직세포 파괴
귀 , 얼굴은 따뜻한 물수건
소독된 마른거즈를 손가락 , 발가락 사이에 껴준다.
※ 광과민성 질환
1) 홍반성루프스 – 만성자가면역질환 , 가임기 여성 많이 발생 , 뺨의 나비모양의 대칭적인 발진이 발생한다.
2) 다형일광발진 – 광과민성 질환중 가장 흔하며 , 노출부위에 일시적으로 발진이 발생함. 청년기 & 여성에게 발생
3) 일광두드러기 – 노출부위 가려움증 , 홍반을 동반한 두드러기
4) 포르피린증 – 수포가 많이 발생하고 햇빛을 쪼이면 화상을 입을 정도로 증세가 심해짐.
관리
검은색옷이 자외선 차단효과에 효과적임 . but 열흡수가 증가
오전 11시 ~ 오후 2시 사이 가장 강한 자외선 조사
SPF 15이상 권장 , 자외선 지수가 높을땐 30이상 권장 ( 물에 잘 씻기지 않는 제품으로 )
※ 염증성 피부질환
염증 유발인자에 의해 진피상층이나 표피에 발생하는 염증성 질환
아토피 ( 태열 )
가려움 , 건조 , 딱지 , 비늘 발생하며 가려움의 정도가 심하고 계속 긁다가 외상이 생기고 2차감염 발생
따돌림으로 피해의식 정서적 상처도 많고 예민해지고 불안해하고 신경질
2. 접촉성피부염
1) 금속에 의한 접촉성 피부염
3. 중재
1) 아토피 – 꽉끼는 의상 X , 손톱을 짧게 유지 , 울섬유 제품 X , 열 노출 X , 개 고양이 노출 X
건조를 최소화하기위해 수성크림 , 연화제 사용
국소 스테로이드제 사용 , 하이드로코르티존이 적절함 , 습포랩 // UVA
2) 접촉성피부염 – 산소분무치료
※ 피부암
편평세포 & 기저세포가 가장많이 발생
1) 편평세포암 – 피부암중 높은 발생률 , 주로 노년층에서 발생하며 장기간의 태양광선과 화학물질에 노출되어 발생
입술부위에 많이 발생하고 , 전이율이 높다
2) 기저세포암 – 전체피부암중 65% 차지 , 바닥층의 세포덩어리가 악성종양화된 질환
백인에게 많이 발생하며 , 전이율이 낮다
3) 악성흑생종 – 사망빈도가 가장 높으며 , 멜라닌 세포의 악성 종양이며 피부에서 가장 많이 발생
0 기 | 암세포 존재 표피 |
1기 | 2cm 이하 |
2기 | 2cm 이상 |
3기 | 피부밑조직 |
4기 | 임파절 |
1단계 | 표피 |
2단계 | 유두층 상층부 침범 |
3단계 | 유두층 전체 + 그물층 침범 |
4단계 | 그물층 전체 침범 |
5단계 | 피부밑조직 |
진단 2. 병기
※ 림프부종
림프액의 이동 X , 림프액이 신체축적되여 조직단백질의 비정상적 축적으로 인한 부종 발생
일차성 ( 선천 ) , 이차성 ( 암수술 , 방사선 ) 으로 나눌수있음.
분류 | 증상 |
잠복기 | 림프액 이동감소 , 무겁다는 느낌 |
1기 | 가역적 단계 , 부종발생 , 부종을 누르면 눌렸다가 회복 심장보다 높게 올리면 원래대로 회복 가능 |
2기 | 단백질이 축적되고 피부를 눌러도 들어가지 않음. 감염위험성 증가 |
3기 | 비가역적 단계 상피화 되고 거칠어지고 체액이 피부밖으로 유출감염발생률 굉장히 높음. |
규칙적으로 매일 , 매주 측정
동일한 시간대 ( 주로 아침 ) , 같은 부위를 같은 자세로 측정
수평으로 당겨 측정
붓기가 있는쪽 없는쪽 비교 측정
이전 측정치와 비교
중재
수동 및 능동관절가동운동 , 신장운동 , 점진적 근력강화운동
가로막호흡으로 림프액을 원활하게 움직일수 있음
도수치료 – 조직내 발생한 삼출물을 조직으로부터 멀리 배출 ( 부드럽고 , 서서히 , 반복적 , 낮은압력 )
팔다리에 갑작스런 혈액순환 증가 피함 ( 핫팩등 )
피부를 깨끗하고 건조해지지 않도록 함. ( 발은 건조 )
부종 부위 주사 금지 ( 감염 )
과도한 압력금지 ( 다리 꼬기 ) 정수압이 높아짐
피부가 딱딱해지는 느낌 , 붓기가 있는 부위에 주름시 통증 발생
※ 비만
단순성 , 이차성(갑상선기능저하증 , 쿠싱증후군)으로 구분
1. 복부형 – 복부 , 허리에 많이 축적되어 남성형 , 사과형
1) 내장지방형 – 지방조직 장간막 큰그물막에 축적 , 질병 이환률이 더 높다
2) 피부밑지방형 – 지방조직이 근육과 진피사이의 피부밑조직에 축적
2. 둔부형 – 엉덩이 , 허벅지에 많이 축적되어 여성형 , 서양배형
건선 – 피부 각질층이 정상인보다 빠르게 증식
'국가고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시] 심폐물리치료 간단 정리 (5) | 2024.11.30 |
---|---|
[국시]신경계 진단평가 정리 (1) | 2024.01.27 |
[국시] 전기치료 정리 #3 (1) | 2024.01.01 |
국시 근골격계 질환별 정리 (1) | 2023.12.31 |
[국시] 전기치료 정리 #2 (1) | 2023.1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