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LILNE

이것 저것

반응형

물리치료 26

후-소아마비 증후군

1. 개요 -처음 소아마비 바이러스에 손상된 마비로부터 회복 후 10~40년 정도 마비적 잔류가 계속되는 병적 상태 -근육 약화와 위축, 전신적 피로 관절통, 열과 냉의 내성 감소, 연하곤란, 호흡곤란, 일반적인 측만증과 갗은 골격계 변형 등을 경험 -후 소아마비증군에서 발생하는 증상과 함께 진행성 근위축증이 함께 동반, =후-소아마비 진행성 근위축증 2. 원인 -기본적으로 과거 병역과 임상적 검사가 필요 -근전도를 통한 특징적인 잔류 위축의 증거가 나타나야 함 -새로운 임상적 사실 이전에 소아마비에 대한 회복 후 뚜렷한 안전성 기간이 있어야 하는데, 이는 새로운 임상적 증상들이 질병 또는 손상 후 나타나기 때문 3. 임상증상 -피로, 근육과 관절의 통증, 새롭게 대칭적 또는 비대칭적으로 근약화가 거의 ..

척수매독(신경매독, 척수로, Tabes dorsalis)

1. 개요 -척수 뒤쪽 부위의 신경섬유가 진행성으로 위축되는 질환(위축원인은 매독균) -주로 뒤신경뿌리, 뒤신경절, 넓은다발과 쐐기다발을 침범하여 주로 감각신경원 장애를 야기시키는 여러 임상증상을 나타냄 -진행성 변성과 시신경 위축을 보임, 말초반사 소실, 위치감각과 진동감각 상실 2. 원인 및 발생 빈도 -일반적으로 매독균이 침범하여 신경섬유가 위축되는 것 -때로는 특정 독소가 원인이 될 때도 있음 -매독에 감염된 것을 모르고 그냥 지나간 경우, 10~30년 이후에 발병되기도 함 -남성:여성 = 4:1 -35~50세 사이에 발현율 높음 3. 임상증상 -척수 뒤뿌리의 손상으로 인한 짧고 날카로운 찌르는 듯한 ㅌㅇ증 -뜨거운 불에 데인 듯한 심한 통증 -전격성 통증 -뒤기둥의 소낭으로 인한 뒤기둥성 보행실..

척수구멍증(척수공동증, Syringomyelia)

1. 개요 -척수 중심부에 비정상적으로 물주머니 모양의 포낭이 형성되어 물척수증 형태를 취하거나 척수자체에 관 형태의 구멍을 형성하여 정상적인 뇌척수액의 흐름에 문제를 일으키는 질환 -종류: 교통성 척수구멍증, 비교통성 척수구멍증 -교통성 척수구멍증: 선천적인 뇌의 비정상적인 성장으로 발생하는 경우 -비교통성 척수구멍증: 외상후척수구멍증, 외상 뇌막염, 출혈, 종양 등으로 척수의 회색질 안 에 생긴 구멍이 원인이 되어 발생된 것 2. 병인 -증상: 척수의 중심부로부터 점차 주변부로 확산 -손상되는 구조는 앞백색질맞교차 (척수시상로가 교차되는 부분) -계속 진행되면 척수 앞뿔과 가쪽피질척수로가 손상 -최초의 증상은 손상부위의 양측성 통각과 온도감각의 소실 -척수구멍증 초기의 감각 증상의 특징: 통각과 온도..

말초신경질환(peripheral neuropathies)

1. 개요 -말초신경질환은 말초신경병증(neuropathy)이라고도 함 -말이집 탈락성 신경병증, 축삭변성 신경병증으로 구분 1) 구조 -말초신경은 체성신경계와 자율신경계 -체성신경계: 뇌신경 12쌍과 척수신경 31쌍, 안면, 두부, 근골격, 관절 등의 체성기관에 분포 -자율신경계: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 -신경섬유: 축삭 자신이거나 말이집과 신경집을 포함해서 신경 세포체의 연속되는 구조물 -랑비에마디: 말이집은 축삭을 싸고 있는 특유한 유지방체인 피막,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단절 : 신경의 자극 전도시에는 랑비에 마디를 따라 도약전도 -신경집: 슈반세포로 싸인 얇고 투명한 피막, 중추신경계의 신경교세포 -말초신경을 싸고 있는 막: 신경속막(신경섬유 하나하나를 싸고 있는 막) 신경다발막(신경속막에 싸인 다발..

상지 말초신경질환(Upper extremity peripheral nerve diseases)

1. 목 신경뿌리병증(경 신경근병, Cervical radiculopathies) 1) 팔신경얼기(상완신경총) 구조 -팔신경얼기의 시작은 목 신경뿌리와 가슴 신경뿌리 5개가 나와서 3개의 신경몸통을 형성하고, 빗장뼈 아래 근처에서 다시 3개의 신경다발을 형성하며 다시 하부에서 여러 갈래의 종말가지로 나눠지면서 팔에서 근육피부신경(musculo cutaneous N), 겨드랑신경(axillary N), 노신경(radial N), 정중신경(median N), 자신경(ulnar N) 등의 중요한 말초신경들을 형성 2) 개요 및 병인 -팔의 말초신경질환은 팔신경얼기 손상으로 시작 -그 첫 부분이 목 신경뿌리병증이고 이는 척수에서 나오는 목 앞뒤 신경뿌리가 나옴 -주로 추간원반(disc)이나 후관절(facet j..

다발성 경화증(Multiple sclerosis)

1.개요 -원인이 알려지지 않은 신경게의 가장 흔한 만성 염증성 말이집탈락 질환 -주로 20~40세 사이에서 가장 흔히 발병 -여성의 유병률이 남자보다 높음 -유럽계 백인에서 가장 빈번하게 발병 -병변이 여러 곳에 산재성으로 흩어져 있음 -대뇌의 뇌실 주변영역, 뇌줄기, 소뇌의 소뇌다리, 뒤척수의 백색질, 시신경 등에서 말이집의 탈락 2. 병인 -중추신경계는 신경세포로 이루어진 회색질과 신경세포를 연결시켜 주는 섬유로 구성된 백색질로 구분 -백색질은 축삭과 이를 둘러싹 보호작용을 하는 말이집으로 이루어짐 -말이집은 하나의 절연체로서 신경흥분이 신경섬유를 따라 신경섬유마디에서 다른 신경섬유마디로 빠르게 전도되는 것을 도움 -다발성 경화증은 축삭을 싸고 있는 말이집의 침범으로 발생 -신경계의 여러 부위에서 ..

다리 말초신경 질환(lower extremity peripheral nerve diseases)

1. 허리엉치신경뿌리병증 (요천수 신경근병, Lumbosacral radiculopathy) 1) 개요 -신경뿌리에 손상을 주어 신경뿌리를 압박하는 질환 -신경뿌리는 허리엉치부위의 척추사이구멍을 지날 때 흔히 손상을 받으며, 척추원반탈출증이 신경뿌리병증의 원인 중 가장 흔한 예이다 -원인: 척추 및 주위구조물들의 손상을 줄 수 있는 염증성 질환과 척추골절, 척추원반의 탈 출, 골반 혹은 엉치뼈골절 등과 같은 외상, 퇴행성 관절질환, 전이성 질병, 당뇨성 신경병 3) 임상증상 -신경뿌리 지배영역의 피부분절에 따른 방사통과 감각이상이 나타남 -각 신경뿌리의 지배를 받는 근육분절의 근력약화, 근위축, 운동장애 -DTR의 감소나 상실 -말초신경 손상에 의한 감각장애는 신경뿌리 손상의 경우에 비해 경계가 명확하게..

길리안-바레 증후군(Guillain-Barre Syndrome)

1. 개요 및 병인 -대표적인 급성 말초신경병증의 하나로 급성 염증성 탈수초 다발성 신경병증이라고 불림 -임상적으로 뇌신경을 포함하는 말초신경의 급성 마비성 질환 -발병 빈도는 인구 100,000명당 2명 정도 발병 -소아보다는 성인, 여자보다 남자에서 더 많이 말생 -발병 1~3주 전에 바이러스 등의 감염이나 면역접종의 병력이 있는 경우가 많음 -바이러스 또는 세균성의 호흡기 및 위장관 감염, 예방접종 후 수주일 내에 시작하여 비교적 빠르게 근력약화와 DTR의 저하와 소실이 대칭적으로 나타남 2. 원인 -척수의 앞신경뿌리와 척수신경에 주로 염증성 소견이 나타나 다발성 신경병증이라 불림 -환자의 약 70%에서 마비 이전에 다양한 형태의 선행질환과 연관이 있음 -인플루엔자 예방접종후에도 발생 -감염,폐렴,..

얼굴신경마비(안면신경마비, facial nerve palsy)

1. 개요 -제 Ⅶ 뇌신경인 얼굴신경의 손상으로 주로 얼굴 표정근의 마비와 감각이상 및 상실, 통증 -Bell 마비라고도 함 -원인: 정확히 알려져 있진 않지만 주로 바이러스에 의한 상기도 감염, 찬바람에 노출, 정서적인 불안정에 의해 발생 -개개인마다 증상이 조금은 다를 수 있지만 대부분 예후가 좋기 때문에 조기치료가 중요 2. 원인 1) 중추성 얼굴신경마비 -병소부위가 얼굴신경핵으로 들어오는 겉질숨뇌로 부위가 손상되어 나타남 -주요원인: 뇌혈관 질환인 뇌출혈 및 뇌경색, 뇌막염, 외상성뇌손상, 다리뇌 종양, 다발성 경화증, 당뇨병, 매독 등에 의해 주로 발생 -편마비 환자에서 흔히 볼 수 있음 2) 말초성 얼굴신경마비 -얼굴신경의 핵 또는 신경핵 하부에 손상되었을 때 발생, 정확한 원인은 모름 -찬 ..

루드 접근법(Rood approach)

1 . 루드 접근법 마가래트 루드는 물리치료사이면서 작업치료사인데 그녀는 뇌손상 장애 환자 치료 지식 증진에 많은 기여를 하였다. 그녀의 중요한 공헌은 조절된 감각자극과 개체발생학적 단계 그리고 활동을 통한 목적 있는 반응의 요구 등을 치료에 응요할 것을 강조한 것이다. 루드는 자신의 임상연구 자료를 운동발달의 신경생리학적 이론 등과 연결시켜 설명하려하였으며 동물 연구로 부터 얻어진 정보를 임상치료에 적용하려고 시도하였다. 루드는 몇해 동안의 연구와 치료방법의 임상적 실험 그리고 신경생리학적 이론을 기초로 하여 소위 루드의 접근법을 발표하였는데 이것은 원래 뇌성마비아이의 치료를 위해 고안한것이지만 운동 조절에 문제가 있는 다른 환자들에게도 적용시킬수 있을것이라 믿음 루드의 기본적인 생각은 어떤 운동패턴은..

물리치료 2023.11.22
반응형